Engie 미국 내 프로젝트 분포 지도
Engie 미국 내 프로젝트 분포 지도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프랑스의 에너지 대기업 Engie가 미국 내 재생에너지 사업 확대에 일시적인 제동을 걸었다.

트럼프 행정부가 다시 추진 중인 중국산 태양광 및 배터리 부품에 대한 고율 관세 재도입 가능성과,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인센티브 적용 여부의 불확실성이 맞물리며, 프로젝트 수익성 예측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Engie는 미국 내에서 현재까지 11GW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 및 저장 용량을 개발·운영 중이며, 주요 허브 지역을 중심으로 추가 프로젝트를 준비 중이었다. 그러나 주요 기자재 조달선 대부분이 중국·동남아 등 아시아 지역에 의존하고 있어, 관세 변동성이 사업 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IRA 적용도 확정 안돼”…최종 투자결정 보류

특히 문제는 최종 투자결정(FID)을 앞둔 프로젝트 다수가 있다는데 있다. Engie는 현재 예정된 프로젝트 중 상당수가 아직 IRA의 세액공제(PTC/ITC) 적용 여부가 불분명하거나, 자재 조달에 따른 가격 책정이 유동적이어서 승인 일정을 뒤로 미루고 있다.

IRA는 미국 내 재생에너지 산업에 세제 혜택을 부여해 기업들의 투자를 유도하는 법으로, 부품 원산지 요건이나 노동 조건 기준 등이 명확하게 충족되지 않으면 적용이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Engie뿐만 아니라 글로벌 재생에너지 개발 기업들의 대미 전략에도 동시다발적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 트럼프 관세 부활 움직임…“불확실성, 공급망 타격 불가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대선 캠페인에서 중국산 태양광 모듈과 리튬이온 배터리 부품에 대해 고율의 관세 재도입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Engie는 미국 내 신규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해 자재 조달처 다변화 및 국내 조립 확대를 장기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