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미국 정부가 자국 에너지 안보 강화를 명분으로 석탄 및 가스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규제 폐지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는 전임 행정부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전면 뒤집는 조치여서 파장이 예상된다.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27일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기존 석탄·가스 화력발전소의 온실가스 배출을 제한하는 'GHG 규정'의 개정안을 백악관에 제출했다. 이 개정안은 이르면 다음 달 최종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환경보호청은 이번 조치의 배경으로 미국 화력발전소가 더 이상 기후변화의 주된 원인이 아니라는 점을 들었다. 환경보호청은 "현재 미국 석탄·가스 화력발전소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로, 2005년의 5.5%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이번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강력한 자국 에너지 생산 강화 정책의 일환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첫날부터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이러한 정책 기조에 따라 실제적인 조치도 이루어졌다. 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지난 24일 미시간주의 에너지 기업인 컨슈머스 에너지(Consumers Energy)에 'J.H. 캠벨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 유지를 지시했다. 당초 이달 말 폐쇄될 예정이었던 1560MW 규모의 이 발전소는 정부 지침에 따라 오는 8월 21일까지 운영을 계속하게 됐다.
이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절반으로 줄이고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던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의 정책 목표를 완전히 폐기하는 것이다.
미국 에너지 정보국(EIA)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전체 전력 생산에서 석탄 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16%까지 감소했으나, 정부는 에너지 안보를 위해 기존 화력발전소의 역할을 다시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