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전기차 배터리 설계와 성능을 실험하고 있다./현대자동차 제공
현대자동차가 전기차 배터리 설계와 성능을 실험하고 있다./현대자동차 제공

[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국토교통부가 전기차 화재 예방 및 운행 안전 확보를 위해 현대, 기아, 벤츠 등 14개 전기차 제작사와 함께 무상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일부 제작사는 5월부터 추가 안전점검 일정을 확정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무상 안전점검은 지난해 8월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와 관련해 정부 합동으로 발표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에 따라 추진됐다. 

안전점검에는 현대·기아·KG모빌리티(국산), BMW·벤츠·테슬라(수입) 등 총 14개 전기차 제작사가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특히 현대, 기아, 폭스바겐, 아우디 등 일부 제작사에서는 특정 기간에 국한하지 않고 연중 상시 무상 안전점검을 실시한다고 전했다. 

점검 항목에는 고전압배터리의 상태, 배터리 냉각시스템 등 안전 관련 항목을 중점적으로 확인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배터리 하부 충격 여부 등 외관 상태도 함께 점검하며, 이상이 있을 경우 수리받을 수 있도록 안내했다. 구 버전 배터리 관리시스템(BMS)이 탑재된 일부 차종은 고전압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진행하며, 리콜 이행 여부도 확인하여 리콜 조치도 함께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전기차 이용자는 제작사별 점검 일정을 확인한 후 가까운 차량 서비스센터로 예약·방문하여 점검받을 수 있다고 안내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전기차 등 차량의 선제적 안전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도 병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향후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는 리콜을 미이행한 차량의 경우 정기검사에서 부적합 처리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및 ‘자동차종합검사의 시행 등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안으로, 2025년 4월 30일부터 6월 9일까지 입법예고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토교통부 김홍목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작년 전기차 화재 사고 이후 전기차에 대한 국민 우려가 큰 만큼 전기차 이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이번 무상 안전점검에 참여해 주시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전기차 안전 확보를 위한 소비자 보호 조치와 제도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