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각계에서 다양한 ‘정책 조언’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장·차관 등 ‘정책결정자’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 소통 교육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자문을 정례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단순한 정책 홍보를 넘어 절차적 정당성과 신뢰를 확보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전략 커뮤니케이션 기업 ‘플레시먼힐러드(FH)’는 최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열린 ‘2025 한국PR협회 특별세미나 ’정책은 PR로 완성된다’에 참여해 정책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 방안과 성공적인 민관협력 모델을 공유했다. 이번 세미나는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했다.
위기·갈등 시대, 정책 홍보는 ‘정당성 확보’ 도구
플레시먼힐러드코리아(FHK) 박영숙 대표는 지난달 29일 열린 ‘재난·위기·갈등과 정책 소통, ESG’ 세션 토론자로 참석, “정부의 위기관리 역량은 단지 정보 전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소프트 파워”라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정책결정자의 정기적 소통 훈련 △투명한 정보 공개와 소통 플랫폼 구축 △사회적 회복을 체감할 수 있는 캠페인 기획 등을 새 정부 소통 전략의 핵심 과제로 제안하며 “특히 각 부처의 장·차관과 기관장들은 위기 대응 메시지 설계와 공중과의 커뮤니케이션에 능숙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선 27일엔 FH 최승호 파트너가 ‘공공–민간–국민 연결 파트너십’ 세션에서 2024년 경남 사천에서 출범한 우주항공청(KASA) 사례를 중심으로 민관협력 소통 전략을 소개했다.
KASA는 민간기업 제안을 120건 이상 수렴해 입법부터 실행까지 제도에 반영하고, ‘민간협력위원회’를 설치해 정책의 공동 소유 구조를 만든 게 특징이다.
최 파트너는 “산업은행의 정책금융이 실제 스타트업의 자금조달로 연결되며 이노스페이스 등 민간 성공 사례가 나왔다”며 “정부가 주도하는 일방적 정책 모델이 아닌 민간 참여 기반의 소통 중심 정책 PR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통의 ‘절차적 정당성’ 확보가 핵심
FHK는 발표를 통해 “정책은 복잡한 이해관계 조정 과정이며, 정책 PR은 결과 못지않게 과정의 투명성과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전략산업 민관협력 PR △재난·갈등 상황의 위기대응 커뮤니케이션 △ESG 기반 정책 소통 등 새 정부가 주목해야 할 커뮤니케이션 과제가 폭넓게 다뤄졌다.
새 정부가 출범과 동시에 복잡한 사회적 갈등과 위기 이슈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책 PR의 전문성과 전략적 소통 역량에 대한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1946년 미국에서 설립된 FH는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컨설팅을 통해 위기관리와 공공관계, 이해관계자 소통 등의 분야에서 국내외 기업·공공기관과의 협업을 수행하며 사회적 아젠다에 대한 다자간 협의를 주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