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단지공단은 2025년도 스마트에너지플랫폼 TOC+(Total Operating Center Plus) 사업 수행기관을 선정하고, 지난 6월 24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착수보고회 및 전문가 자문단 위촉식을 개최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제공
한국산업단지공단은 2025년도 스마트에너지플랫폼 TOC+(Total Operating Center Plus) 사업 수행기관을 선정하고, 지난 6월 24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착수보고회 및 전문가 자문단 위촉식을 개최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한국산업단지공단스마트그린산단 내 수출기업들을 위한 ‘산단형 MRV 플랫폼’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이 플랫폼은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등 글로벌 탄소 규제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내 최초의 산업단지 기반 지원 시스템이다.

MRV 플랫폼은 제품별 탄소배출량을 △산정(Measurement) △보고(Reporting) △검증(Verification)하는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고, EU 등 규제당국의 제출 형식에 맞춰 보고서를 자동 생성·제출할 수 있는 ‘원스톱 대응 체계’를 구현한다. 이로써 중소·중견 수출기업들이 개별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국제 환경규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플랫폼의 핵심 기능은 △데이터 표준화 및 통합관리 △공급망 참여기업 간 정보교환 기술 △공식 보고서 자동 작성 및 제출 지원 △교육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등으로 구성된다. 향후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과 연계해 글로벌 대응 수준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이를 위해 2025년도 스마트에너지플랫폼 TOC+(Total Operating Center Plus) 사업 수행기관을 선정하고, 지난 6월 24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착수보고회 및 전문가 자문단 위촉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수행기관 관계자, 수요기업 대표, 탄소 규제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석해 실무 협의와 방향성을 공유했다.

이상훈 이사장은 “앞으로 디지털 제품 여권은 무역의 기본서류가 될 것”이라며 “공단은 선제적 지원을 통해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과 ESG 대응 역량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