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스마트그린산단 내 수출기업들을 위한 ‘산단형 MRV 플랫폼’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이 플랫폼은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등 글로벌 탄소 규제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내 최초의 산업단지 기반 지원 시스템이다.
MRV 플랫폼은 제품별 탄소배출량을 △산정(Measurement) △보고(Reporting) △검증(Verification)하는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고, EU 등 규제당국의 제출 형식에 맞춰 보고서를 자동 생성·제출할 수 있는 ‘원스톱 대응 체계’를 구현한다. 이로써 중소·중견 수출기업들이 개별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국제 환경규제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플랫폼의 핵심 기능은 △데이터 표준화 및 통합관리 △공급망 참여기업 간 정보교환 기술 △공식 보고서 자동 작성 및 제출 지원 △교육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등으로 구성된다. 향후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과 연계해 글로벌 대응 수준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은 이를 위해 2025년도 스마트에너지플랫폼 TOC+(Total Operating Center Plus) 사업 수행기관을 선정하고, 지난 6월 24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착수보고회 및 전문가 자문단 위촉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수행기관 관계자, 수요기업 대표, 탄소 규제 전문가 등 50여 명이 참석해 실무 협의와 방향성을 공유했다.
이상훈 이사장은 “앞으로 디지털 제품 여권은 무역의 기본서류가 될 것”이라며 “공단은 선제적 지원을 통해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과 ESG 대응 역량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산단公, ‘AX 실증산단 구축사업’ 본격 추진...산업단지 AI 전환 가속화
- 산단公, 중기 ESG경영 전주기 지원기업 26일까지 모집
- 인천, 산단 태양광 활성화 우수기관 선정 … 산업부장관상 영예
- 산단公, 단지 내 태양광발전 보급 본격 시도
- 산업단지 입주기업 ESG경영·수출지원 ‘맞손’
- 산단公, 국민 홍보·소통 자문단 출범
- 산단 입주기업 ESG 전환 본격화…산업단지공단-생산성본부 맞손
- 철강의 미래, 수소와 디지털에서 찾는다…산업입지포럼 개최
- 삼보오토, AI 기반 검사 공정 자동화로 제조혁신...‘산단 AX 카라반’ 첫 현장 방문
- ‘탄소중립선도협의체’, 제2차 정기회의 개최...융자사업 리스크 대응 집중
- G밸리 창업허브로 다시 뛴다...‘2025 G밸리 창업경진대회’ 개막
- 산업부, CBAM 본격 시행 6개월 앞두고 현장 소통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