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프랑스가 올해 4월 발표한 제2차 국가 수소 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전해조(Electrolyzer) 용량 4.5GW, 2035년 8GW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지만, 공공 예산 집행 부진으로 목표 달성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프랑스 회계법원은 90억 유로 규모로 책정된 수소 밸류체인 지원 예산 중 실제 집행된 금액이 9억 유로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프랑스의 현재 전해조 용량은 0.5GW에 그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낙관적인 시나리오를 가정하더라도 2030년 전해조 용량은 3.1GW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연간 수소 사용량은 2035년 100만 톤, 2050년 440만 톤으로 예상되나, 이 역시 공급망 확충 속도를 고려할 때 달성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특히 전체 예산의 46%가 도로 교통 분야에 배정되었는데, 프랑스 내에서는 배터리 기반 전기차 기술이 보다 유망하다는 평가가 우세해 예산 배분의 합리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목표 달성보다 예산 집행 구조와 지원 체계의 현실성이 시급히 개선돼야 한다”며 “수소산업이 기후중립의 핵심으로 자리 잡으려면 실행력이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