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지원사업」 착수 교류회가 1일 오전  마곡 머큐어 호텔에서 열렸다./산업부 제공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지원사업」 착수 교류회가 1일 오전 마곡 머큐어 호텔에서 열렸다./산업부 제공

[투데이에너지 이성중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급변하는 글로벌 탄소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망 탄소 파트너십' 선도 모델로 LG전자, 포스코, LG화학, LX하우시스 등 4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7월 1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대기업부터 중견·중소 협력업체까지 산업 공급망 전체의 탄소 감축을 목표로 하며, 협력업체의 공정 개선 및 설비 신·증설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최근 글로벌 탄소 규제는 제품별 탄소발자국 측정 등 공급망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어, 최종 제품 생산 기업뿐만 아니라 소재·부품 협력업체의 탄소 감축까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산업부는 올해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지원사업'의 일환으로 4개 컨소시엄(8개 기업)과 3개 개별 기업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고, 기존의 개별 기업 지원을 넘어 공급망으로 연결된 협력 기업들의 탄소 감축을 새롭게 지원한다.

정부 예산은 중소·중견 기업을 대상으로 공정 개선, 장비 교체, 설비 신·증설 등에 필요한 자금 중 국고 보조율 최대 40% 범위에서 지원된다. 또한, 대기업(원청업체)들도 협력업체에 현금·현물을 출자하고 ESG 컨설팅을 제공하여 협력업체들의 탄소 감축 참여를 독려한다.

이번에 선정된 LG전자 컨소시엄의 경우, 전기전자, 플라스틱, 고무, 도장 분야의 소재·부품 협력업체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기업의 탄소 배출을 줄이는 핵심 설비 교체가 정부와 대기업의 지원 아래 올해 연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포스코 컨소시엄에는 조선내화가 참여하여 건조로 연료 전환 설비 구축을 추진하며, LG화학 컨소시엄의 우성케미칼은 자가소비 지붕형 태양광을 구축할 계획이다. LX하우시스 컨소시엄의 금진과 모젤디앤에스는 고효율 방지시설 및 자동화 시설 구축, 태양광 설치 등을 통해 탄소 감축에 나선다.

컨소시엄 부문 외에 개별 기업 부문에서는 을화(염색가공), 신화메탈(자동차 부품), 건화(건설기계) 등 3곳이 선도 모델로 선정되어 탄소 감축 신규 설비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글로벌 산업 경쟁이 개별 기업 간 대결을 넘어 공급망 간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탄소중립을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로 인식하고 공급망 전체의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지원사업'은 공급망 탄소배출량(Scope 3) 감축을 통한 글로벌 탄소무역규제 대응 역량 및 시장 경쟁력 강화와 탄소 다배출 업종의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대표 플랜트 구축 및 성공 사례 확산을 목표로 한다. 올해 지원 예산은 4천168억 원이며, 컨소시엄당 최대 30억 원, 개별 기업당 최대 15억 원이 지원된다. 정부 지원금은 중견기업(원청 또는 협력) 및 중소기업(협력)에만 지원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