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전라남도가 국내 최대 규모의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BESS) 사업을 유치하며 '에너지 수도' 건설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6일 전남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력거래소가 지난 7월 실시한 '2025년 제1차 ESS 중앙계약시장 경쟁 입찰'에서 전남 도내 6개 시군 7개 사업이 모두 선정되는 성과를 거뭤다고 밝혔다.
이번 입찰에서 전남이 확보한 물량은 총 523MW 규모로, 사업비만 1조5천억원에 달한다. 이는 2023년 제주도에서 처음 추진된 이후 육지 지역에서는 최초의 대규모 ESS 사업이다.
선정된 사업은 영광, 무안, 진도, 고흥, 광양, 신안 등 6개 시군에 걸쳐 추진되며, 각각 민간·공공 컨소시엄이 참여한다. 523MW 규모는 1시간에 523MWh의 전력량을 저장하거나 공급할 수 있는 설비용량으로, 입찰 조건에 따라 6시간 동안 운영이 가능해 총 저장용량은 3138MWh에 이른다.
이는 전남 가구당 일평균 전력소비량 7kWh를 기준으로 약 45만 가구가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해당한다.
전남도는 이번 ESS 사업으로 제조 및 건설 분야에서 9300여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한 도내 재생에너지 설비 제작 및 시공업체들의 매출 증가 효과도 기대된다.
특히 전남도는 정부가 추진하는 전남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산업단지 조성 및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 구축과 연계해 지역 내 ESS 산업 기반을 체계적으로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전남도는 지난 5월 도-시군 합동으로 '계통안정 ESS 지원단'을 구성하고, 도내 19개 사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주민 수용성 확보 방안 등을 논의한 후 전력거래소에 의견서를 제출하는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앞으로도 전남의 ESS 사업 확장은 계속될 전망이다. 2027년까지 ESS 신규 입찰 물량이 이번 물량의 3배를 넘는 1.6GW까지 예정되어 있어, 전남도는 시군과 함께 상시 지원체계를 유지하고 부지 발굴, 주민 수용성 확보 등 행정적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
정현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전남이 국가 전력망 혁신 및 미래 에너지 산업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며 "도내 대규모 ESS의 획기적인 도입으로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기본소득 실현, 첨단기업 유치를 앞당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KIGAM, 폐배터리 고전압 ESS 활용 '친환경 업사이클링 기술' 개발
- 전남도, 차세대 전력망 혁신기지 조성으로 '에너지 수도' 도약
- [해설] ESS 구축, '전력 계통 안정성'에 핵심적인 4가지 이점
- 전남 7곳 · 제주 1곳 563MW 규모 ESS 구축 최종 확정
- 김영록 전남지사 "에너지 수도로서 年 1조원 규모 에너지 기본소득 가속화"
- [분석] ESS, '전력 인프라 심장'으로...K-배터리의 제2 성장축 되나
- 여름철 전력수급 6주차, 예비력 16GW 이상 확보로 안정세 지속
- 전력거래소, 쪽방촌 혹서기 지원
- 전력거래소, 나주서 플로깅
- 전력거래소, 민방위 우수기관 총리표창 수상
- 전력거래소-에너지연, 제주 VPP 고도화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