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한국에너지공단(공단)은 28일 부산 BEXCO 제1전시관에서 “취약계층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에너지와 산림복지 성과 발표회”를 개최했다.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부대행사로 열린 에너지 슈퍼위크 기간 중 진행된 이번 발표회는 산업통상자원부 등 기후·에너지 분야 관련 정부 부처들이 함께 주최했다.
발표회에선 에너지공단과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등 세 기관이 여름철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취약계층 지원 성과를 공유하고 수요자 중심의 복지서비스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각 기관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다양한 복지 제도를 운영하며, 그 성과를 발표했다.
에너지바우처 제도 개선 및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확대
에너지공단은 에너지바우처 제도를 통해 냉·난방 비용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번 발표회에서 제도 개선 사항을 공유했다.
주요 개선 내용으로는 등유와 에너지바우처 통합, 하·동절기 지원금 통합 사용 등이 있다. 또한 유관기관 협업을 통해 복지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확대 등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찾아가는 복지서비스는 우체국 집배원과 사회복지사가 에너지바우처 미사용 세대를 직접 찾아가 실태조사 및 제도 안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1:1 맞춤형 사용지원까지 실시한다.
이러한 서비스 확대로 에너지바우처 활용 향상과 관련 지표의 개선이 이뤄졌다. 2023년 8월 22일 기준으로 에너지바우처 수급 가구 수는 125만3000가구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고, 총사용액은 528억원으로 사용률이 5.8%p 상승했다.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지원 사례도 소개
또 한국에너지재단은 ‘취약계층 폭염 대응 지원 사례’를 주제로 효율 개선 사업과 민간 협력 사업 사례를 발표했으며,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은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을 활용한 여름철 폭염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이들은 폭염 등 기후 위기 상황에서 취약계층의 여름나기를 돕기 위해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한영배 한국에너지공단 지역에너지복지이사는 “이번 발표회는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관련 복지 제도 운영기관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수요자 중심의 공공 복지서비스 품질 개선과 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에너지공단은 이번 발표회를 통해 기후위기 대응 복지 제도의 성과를 공유하고, 기관 간 협력 강화와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지원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소개했다.
향후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취약계층 복지서비스의 품질을 더욱 높여, 기후 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담당자 이해도 높인다”...에너지公, 권역별 간담회 개최
- 당정, 7~8월 전기요금 누진제 구간 완화…국민 냉방비 부담 경감 효과
- 정부, 에너지바우처 1년치 일괄 지급...“폭염 시기 집중 사용 가능”
- 올여름 전력수요 97.8GW 예상, 7월 역대 최고치
- 폭염 속 ‘에너지바우처’로 전기요금 걱정 덜어준다
- [이재명 대통령 기자회견] 李 대통령 “에너지 고속도로·재생에너지 아낌없이 투자”
- 산업부, 고효율 에어컨 보급 및 에너지 바우처 지원
- 에너지公, 울산 학성새벽시장과 ‘상생마켓’ 개장
- 에너지公, 부산시와 MOU...‘찾아가는 에너지복지’ 취약계층 돌봄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