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정석현 기자]  박해철 민주당 의원은 지난 8일 국정감사에서  김완섭 환경부 장관을 상대로 기후대응댐은 홍수예방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 자리에서 기후대응댐은 소규모 댐으로 홍수 시 저수량이 급증해 월류현상이 발생해 수해 예방이 불가능하다라며 대부분 수해 피해는 제방의 관리 부실, 과도한 하천 공사활동 등으로부터 비롯된다고 일갈했다. 이어  홍수터 복원, 수재해 시 경보체계 개선과 같은 비구조적인 대책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김 장관에게 "현재 14개 후보지 중 양구(수입천댐), 단양(단양천댐), 청양(지천댐), 화순(동북천댐) 등에서는 주민설명회가 무산됐다"라며 "기후대응댐 건설에 반대하는 지역을 백지화할 수 있냐?"라고 질문했다.

김 장관은 "아직 의견을 밝히기 이르다"고 답변했다.

박해철 의원은 "기후대응댐 추진과 관련해일부 후보지에서 주민들의 거센 반대운동이 일어나고 있다”라며“기후대응댐 추진 과정에서 대상지역 주민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주민 반발이 극심한 지역은 댐 건설을 강행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7월에 경북 청도 운문천, 경북 김천 감천, 전남 화순 동복천, 전남 순천 옥천, 전남 강진 병영천, 경남 거제 고현천, 경남 의령 가례천, 강원 양구 수입천, 강원 삼척 산기천, 경기 연천 아미천, 충남 청양 지천, 충북 단양 단양천, 울산 울주군 회야강 등 14개 기후대응댐 후보지를 공개했다.

박해철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김완섭 장관을 상대로 질의를  한 장면./  박해철 의원실 제공
박해철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김완섭 장관을 상대로 질의를 한 장면./ 박해철 의원실 제공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