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수자원관리위원회에서 제1차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을 심의, 의결했다고 밝혔다.

기후변화 대응과 물 부족 해결, 홍수 예방, 하천 환경 개선 등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을 포함하고 있는 이번 관리계획은 특히 기후대응댐 후보지와 관련된 구체적인 계획도 담겼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번 계획은 한강과 낙동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등 5대 권역의 물 부족과 홍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응책을 마련했다. 특히 14곳의 후보지가 포함돼 있는 기후대응댐 중 9곳은 주민설명회와 협의 절차를 거쳐 후속 절차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들 댐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물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로 각 지역의 특성에 맞춘 설계가 진행된다.

계획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물 부족량은 약 7억4000톤으로 예상된다. 이는 산업시설 증가와 기존 댐의 여유량 부족에 기인한다. 특히 한강권역과 금강권역의 물 부족량이 큰 편으로 분석됐다. 낙동강권역은 상대적으로 물 부족량이 적고 이수안전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노후 상수도관망 정비, 절수설비 보급, 취수장 확충 등 다양한 대책이 마련됐다.

또 이번 계획은 홍수 예방을 위한 치수안전도 분석도 포함됐다. 전국 111곳의 중권역 중 76곳에서 홍수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하천 정비(국가하천 1,565km, 지방하천 3,621km)와 천변저류지, 방수로, 기후대응댐 등의 홍수 저감 방안이 제시됐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하천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수질 개선을 위한 수생태계 관리 대책도 강화됐다. 하수처리장과 가축분뇨 처리시설 신·증설, 비점오염 저감 등의 수질 관리 대책 외에도 기수역 생태복원과 육역화 방지 등의 생태 복원사업이 추진된다.

김완섭 장관은 “이번 관리계획을 통해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장기 계획이 마련됐다”며 “기후대응댐은 지역 공감대를 바탕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댐이 기후 대응뿐 아니라 지역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후대응댐 14곳 위치도. / 환경부 제공
기후대응댐 14곳 위치도. / 환경부 제공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