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CC 제62차 총회 개회식 사진. / IPCC 홈페이지 출처
IPCC 제62차 총회 개회식 사진. / IPCC 홈페이지 출처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정부는 5일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지난달 24일부터 28일까지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제62차 총회에서 2028년 발표 예정인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의 개요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에서는 3개 실무그룹 평가 보고서 개요가 승인됐으며, 이 보고서는 향후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 및 국제협상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400여명의 회원국 대표단이 참가한 이번 총회에 우리 정부는 주관부처인 기상청(수석대표 김현경 기후과학국장)을 포함, 환경부와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 및 전문기관 대표단을 구성해 참여했다. 

이번 보고서 개요는 IPCC 제7차 평가 보고서(AR7)의 핵심 전략인 ‘‘분야 간 장벽을 허문 통합적인 기후변화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또 정책결정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개편됐다.

IPCC는 기후변화에 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핵심 기구로, 각국 정부와 국제사회가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중요한 정책적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국내 기후위기 대응 정책뿐만 아니라 국제 협상의 중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IPCC 제62차 총회 개회식 사진. / IPCC 홈페이지 출처
IPCC 제62차 총회 개회식 사진. / IPCC 홈페이지 출처

실무그룹 보고서 공통 요소

제1실무그룹 보고서인 ‘WGⅠ’는 기후변화 임계점(티핑 포인트), 온도 전환점(오버슛), 태양복사변경(SRM) 등의 현상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효과를 다룬다.

특히 기후변화 원인을 전 지구적 차원뿐 아니라 지역별로도 분석하며 정책결정자를 위한 기후 서비스 제공을 강조한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조기경보시스템(Early Warning System) 필요성도 부각되었다.

제2실무그룹 보고서인 ‘WGⅡ’는 지역별 영향, 적응, 취약성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분석한다. 특히 손실과 피해와 관련된 장을 새롭게 추가하고, 수산업과 기후건강을 포함한 새로운 분야를 반영했다.

또한 ‘기후변화 적응 목표(Global Goal on Adaptation)’에 대한 논의가 심화돼 기후탄력성과 기후변화 취약성 저감을 위한 지표 개발도 다룬다.

제3실무그룹 보고서인 ‘WGⅢ’은 ‘이산화탄소 제거(CDR)’와 같은 탄소 완화 기술의 잠재성과 위험을 다룬다. 특히 재정적 지원의 필요성이 강조됐으며, 탄소 포집·활용 및 저장(CCS) 방법론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이와 함께 통합적 대응을 위한 정책 제안과 부문별 이행 수단을 다루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IPCC 제62차 총회 개회식 사진. / IPCC 홈페이지 출처
IPCC 제62차 총회 개회식 사진. / IPCC 홈페이지 출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 협력

이번 총회의 주요 의의는 2028년 ‘파리협정의 제2차 전 지구적 이행점검(Global Stocktake)’을 비롯한 국제협상에서 보고서의 활용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이다.

총회에는 400여 명의 회원국 대표단이 참여했으며 기상청과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 관계부처와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보고서의 구성 방향을 결정했다.

기상청은 향후 보고서 작성에 국내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대응 협의회(K-IPCC)’를 통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현경 기후과학국장은 “국내 전문가들이 기후변화 과학을 토대로 정책과 연구 사례를 제공하고, 보고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의 중요성

이번 총회에서는 ‘블루카본(해양 탄소흡수원)’을 인정하는 등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했다. 특히 갯벌, 해조류, 조하대 퇴적물 등 새로운 탄소흡수원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졌고, 이를 탄소흡수원으로 인정하는 데 여러 국가들이 지지를 표명했다.

향후 탄소포집 및 저장(CCS) 기술에 대한 배출량 산정 방법론이 계속해서 발전할 예정이다.

이번에 승인된 보고서 개요는 2028년부터 순차적으로 발간될 예정이다. 저자 선정 과정은 3월 초부터 시작된다. 기후변화과학을 대표하는 주관부처로서 기상청은 향후 국내 전문가들이 보고서 작성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협력할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이번 보고서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국제 협상에서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며 “국내 연구자들이 보고서 작성에 참여해 우수한 정책 사례와 연구 결과를 반영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IPCC 제62차 총회 개회식 사진. / IPCC 홈페이지 출처
IPCC 제62차 총회 개회식 사진. / IPCC 홈페이지 출처

■용어설명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전 지구 또는 지역적 기후변화가 한 안정된 상태에서 다른 안정된 상태로 변할 때 가정된 임계값.

.오버슛(Overshoot)=특정 지구온난화 수준(예시: 1.5℃)을 일시적으로 초과하는 현상으로 인위적인 CO2 제거량이 전 세계 잔여 CO2 배출량을 초과하는 것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지구온난화가 감소하기 직전의 정점을 의미.

.태양복사변경(SRM; Solar Radiation Modification)=지구온난화를 제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온실가스 완화와 관련되지 않은, 태양 복사를 변경하는 방법. 대부분의 방법은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량을 줄이는 것.

.손실과 피해(Losses and Damages)=기후변화에 따른 악영향을 의미하며, 기후대응 지원과 관련하여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COP)의 주요 의제 중 하나.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