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장관은 14일 제35차 에너지위원회를 개최하고, 비상시 에너지수급계획,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 제1차 전기안전관리 기본계획 등 3개 안건을 심의했다.
정부는 석유, 가스, 전기 등 에너지 수급 차질이 발생할 경우 신속한 대응을 위한 "비상시 에너지수급 계획"을 수립해왔다.
최근 에너지믹스 변화, 지정학적 위기, 이상기후 발생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비상 조치사항을 매뉴얼화했다.
새로 수립된 계획은 석탄 수요 감소와 열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관리 대상을 전력·원유·가스·석탄에서 전력·원유·가스·열로 개편했다. 또한, 전력계통의 변동성이 확대됨에 따라 위기 관리를 수급에서 수급·계통으로 세분화하고, 두 개 이상의 에너지원 수급 재난 발생 시에는 '에너지 종합 비상수급대책본부' 또는 '에너지 종합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하여 대응 역량을 강화하도록 했다.
■제3차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
가스는 취사, 난방, 산업 및 발전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안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정부는 2015년부터 5년마다 가스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해왔다. 이번 제3차 계획에서는 수소경제 성장에 대비하여 수소 신기술 안전기준을 개발하고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도록 하였다. 또한, 노후 가스시설 증가에 따라 IT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의 상시 안전관리 체계로 전환하고, 민간 자율의 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제1차 전기안전관리 기본계획
전력 소비량 증가와 함께 전기사고 발생 시 피해 규모가 대형화되고 있는 현 상황을 반영하여 정부는 올해 최초로 제1차 전기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이 계획은 다중이용시설, 산업단지, 사회적 배려층 등 전기안전 취약 분야에 대한 맞춤형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현장 중심의 유연한 전기안전관리 및 첨단기술을 활용한 안전기술 혁신을 추진할 예정이다.
안 장관은 “이번 계획은 에너지믹스 변화와 지정학적 불확실성 심화 등 변화하는 에너지 수급 여건에 맞춘 비상 대응 체계로,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수소경제 성장과 첨단산업의 전기수요 증가에 맞춰 안전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