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삼성중공업이 러시아 조선소 즈베즈다(Zvezda)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며 정면 대응에 나섰다. 계약 체결 후 러시아 측의 일방적 해지를 위법 행위로 간주하고, 국제중재를 통해 권리 보호에 나선 것이다.
삼성중공업은 2020년과 2021년 즈베즈다와 체결한 쇄빙 LNG운반선 10척과 셔틀탱커 7척에 대한 선박 기자재 및 블록 공급 계약이 지난해 일방적으로 해지된 데 대해, 기 수령한 8억달러 규모의 선수금을 유보하고 이를 초과하는 손해에 대한 배상을 공식 청구한다고 6월 18일 공시했다.
이번 대응은 단순한 계약 분쟁을 넘어, 국제 조선 산업에서 러시아 리스크가 본격화된 이정표로 해석된다.
■ 국제중재 통해 ‘계약 위법성’ 확인…조선사, 본격 법적 대응
즈베즈다는 2023년 6월, 삼성중공업에 일방적으로 계약 해지를 통보하고 선수금 반환을 요구했다. 이에 삼성중공업은 같은 해 7월 싱가포르 국제중재법원에 계약 해지의 위법성을 확인해 달라며 중재를 신청했고, 이후에도 원만한 합의를 위해 협상을 이어왔다.
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기술 협력 제한 등으로 계약 이행 가능성이 극도로 낮아진 상황에서 삼성중공업은 결국 손해배상 청구를 택했다.
회사는 “선주사의 위법한 계약 해지가 근본 원인”이라며, “국제중재 절차를 통해 정당한 권리를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 쇄빙 LNG운반선 계약 무산…지정학 리스크 다시 부상
삼성중공업이 즈베즈다에 공급 예정이었던 선박은 북극항로 운항을 전제로 한 쇄빙 LNG운반선으로, 러시아 극동 에너지 수송 전략과 밀접히 연관된 고부가가치 선종이었다. 셔틀탱커 역시 러시아 유전해역의 원유 수송에 필수적인 자산이었다.
그러나 국제 제재와 금융·물류망 차단이 지속되면서 프로젝트 자체의 실행 기반이 붕괴됐다. 업계에서는 "LNG 선박 및 해양설비 계약에서 러시아 리스크를 명시적 조항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디지털 조선소'로 진화하는 빅3…AI·클라우드·로봇이 재편
- KR-삼성중공업, 3기 탱크 LNG 운반선 개발 맞손
- 삼성重, 스마트 안전관리 시대 연다
- [주총 소식] 삼성重 "기술 중심 100년 기업 도약… 스마트 혁신 가속"
- 삼성重, 말레이시아 초대형 해상 LNG 공장 진수
- 삼성중공업, 공기저항 저감 컨테이너선 첫 인도
- 조선업, '탄소 규제'·'친환경 기술'이 경쟁력 핵심으로 급부상
- 삼성重, 차세대 암모니아 연료전지 개발 착수
- 삼성중공업-재료연구원, 원자력·초극저온 소재 개발 협력
- 삼성중공업, LNG운반선으로 올해 수주 시동
- 삼성중공업, 카타르 수주 LNG 운반선 15척에 TMC 해상압축 공기시스템 도입
- 삼성중공업, 美 스타트업 아모지에 신규 투자 참여
- 삼성중공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5' 발간…ESG 전면 강화
- 삼성重, 성동∙건화와 협력 MOU…조선 경쟁력 강화 박차
- 삼성重, 대규모 해양생산설비 협약…수주목표 34% 달성
- 삼성重, 코랄 FLNG 2호기 본계약 초읽기…역대 최대 해양플랜트
- LNG 슈퍼사이클 이후… K-조선, 새 먹거리 찾기 본격화
- 삼성중공업, 11년 만에 분기 영업이익 2000억 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