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장재진 기자]

스마트폰 부품 및 검사장비 기업 액트로가 배터리 안전성 확보와 급성장하는 폐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액트로(대표이사 하동길)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의 '열화 발화 원인 분석을 위한 입체 이미징 기반 배터리 진단 기술 개발' 국책과제 주관업체로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총 연구비 약 45억 원이 투입되는 이번 과제는 오는 7월 1일부터 2028년 12월 31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국책과제는 액트로를 중심으로 연세대,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 그리고 LG에너지솔루션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진행된다.

연구의 핵심 목표는 셀 단위 배터리 내부의 눈에 보이지 않는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고속 및 고정밀 검사 장비를 개발하여, 배터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비파괴 실시간 진단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전기차 보급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배터리 화재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 관련 기술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재사용 폐배터리 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배터리 결함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사하여 재사용 또는 재활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특히 2030년부터는 연간 약 10만 대 수준의 폐배터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규모는 2030년 약 60조 원에서 2040년 약 20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액트로는 이번 과제 주관을 통해 폐배터리 재사용 여부 판단에 필수적인 진단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시장을 선점할 기회를 얻게 됐다.

이번 과제에서는 액트로가 보유한 테라헤르츠파 검사 기술이 전극과 분리막의 결함을 검출하는 데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테라헤르츠파는 빛과 전파의 중간 영역에 위치하며, 물질을 파괴하지 않고 내부를 투과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제품의 전수 검사 및 실시간 관리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액트로 관계자는 "이번 과제 수행을 통해 배터리 결함 진단 기술을 확보하여 검사기 사업 부문의 저변을 확대하고 배터리 검사 기술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다양한 배터리 안전 수요에 대응 가능한 기술을 완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국책과제 선정을 통해 액트로는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강화와 함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폐배터리 재사용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