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과학원)이 23일 서울역 대회의실에서 ‘배터리 순환이용 전문가 토론회(포럼)’를 개최, 이차전지의 재활용과 자원순환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술·제도적 방향을 공유했다.
이번 토론회는 배터리 재활용·제조업계, 완성차업계, 학계, 공공기관 등 다양한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포럼에서는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 발표를 시작으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재활용 가치평가 연구와 △재생원료 생산인증제도 국내외 동향 등 최근 정책과 연구성과가 집중 조명됐다.
환경부 이차전지순환이용지원단은 지난달 14일 발표된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했다.
활성화 방안은 △순환이용 시장 조성, △재활용 자원 수급 안정화, △기술혁신 및 경쟁력 강화, △전주기 관리기반 구축 등 4대 전략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과학원은 최근 보급이 증가하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에 대한 경제성 평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LFP 배터리는 가격은 저렴하나 회수 가능한 금속의 가치가 낮아 재활용이 어려운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환경부는 해당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제도적 관리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한국환경연구원은 폐배터리나 제조공정 스크랩 등에서 추출된 황산니켈, 황산코발트 등의 금속을 재생원료로 인증하는 생산인증제도의 방향성을 발표했다. 환경부는 내년 시범사업을 거쳐 2027년부터 본 제도를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이날 패널토론에서는 ‘국내 배터리 순환이용 생태계 경쟁력 강화 방안’을 주제로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해 배터리 재자원화 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특히 수요 창출, 원료 확보, 기술혁신 등 업계가 직면한 주요 과제에 대한 다양한 해법이 제시됐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배터리 순환이용은 단순한 폐기물 관리가 아닌 미래 핵심 자원 확보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이번 토론회가 산업계, 학계와 정부간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기반을 다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환경부는 앞으로도 정책·기술·제도 개선을 통한 폐배터리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해, 국내 배터리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 액트로, 배터리 발화 진단 국책과제 주관 선정
- [포커스]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화' 정책 방향 관심 고조
- 환경부, 전기차 폐배터리 국제표준 대응 기술 자료집 발간
- 환경公, 전기차 폐배터리 무상지원
- 일본, 배터리 재활용 의무화 시동…단재·폐배터리 자원화 가속
- LG전자, 고객 참여형 폐부품 자원 순환 활동 강화
- 굴뚝은 줄지 않아도 오염은 줄었다…TMS 측정 결과 5.8% 감축
- 환경公, 우간다서 분뇨문제 해결 나섰다...“환경 ODA와 나눔, 두 마리 토끼 잡는다”
- 환경과학원, ‘출생코호트 학술경진대회’ 개최...어린이 환경보건 연구 본격 시동
- 환경公, ‘층간소음 온라인 예약관리시스템’ 전국 확대 시행
- 환경과학원, 아·태 대기질 예측 기술 국제학회 개최
- 환경公, 16개 환경 유관기관과 협력 논의
- 엘앤에프-SK온 LFP 공급계약 체결
- 천리안위성 2B호 활용성과 공유...후속 6호 개발 논의도 본격화
- 환경과학원, 무공해차 환경인증 전문가 교육
- 포항 폐배터리공장 또 황산누출 사고 올해만 3번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