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 전경./ 국립환경과학원 제공
국립환경과학원 전경./ 국립환경과학원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국립환경과학원은 오는 2일부터 3일간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기질 예측 기술 발전을 위한 ‘2025년 국제 학회’를 개최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학회는 CMAS(커뮤니티 모델링 및 분석 시스템 센터), IUAPPA(국제대기환경보전단체연합회)와 공동 주관하며 미국, 중국, 일본, 독일 등 11개국 대기환경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해 국제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학회에서는 기존의 ‘물리·화학 기반 대기질 예측 모델(CMAQ)’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데이터 중심 접근법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모델 개발이 핵심 주제로 다뤄진다. 머신러닝·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예측 정확도 향상 사례 및 통합 방법론 발표도 이어진다.

성지원 환경과학원 대기환경연구부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대기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 공동 대응 기반이 마련될 것”이라며 “특히 물리·화학 기반 모델에 인공지능을 접목한 하이브리드 대기질 모델링을 통해 대기질 예측 성능을 한 단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8년 중국, 2023년 일본에 이어 세 번째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에선 처음 개최되는 국제 학술행사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