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글로벌 IT 리서치 기업 가트너가 에이전틱 AI 프로젝트의 40% 이상이 2027년 말까지 중단될 것이라는 충격적인 전망을 내놨다.

가트너는 25일 비용 증가, 불분명한 비즈니스 가치, 부적절한 위험 관리를 주요 실패 원인으로 지목하며 이같이 발표했다.

아누쉬리 버마 가트너 시니어 디렉터 애널리스트는 "현재 대부분의 에이전틱 AI 프로젝트는 초기 실험 단계에 있으며, 과대광고에 의해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며 "대규모 AI 에이전트 도입에 드는 실제 비용과 복잡성을 간과하면 실운영 단계로 넘어가지 못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가트너가 올해 1월 웨비나 참석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19%만이 에이전틱 AI에 상당한 투자를 했으며, 42%는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1%는 상황을 관망하거나 확신하지 못하는 상태였다.

특히 가트너는 많은 공급업체가 '에이전트 워싱'을 통한 과대광고를 진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AI 어시스턴트, RPA, 챗봇 등을 에이전틱 AI인 것처럼 과장하는 행위다. 수천 개의 에이전틱 AI 공급업체 중 실제 기술을 제공하는 업체는 약 130개에 불과하다는 분석이다.

버마 애널리스트는 "현재의 에이전틱 AI 모델은 복잡한 비즈니스 목표를 자율적으로 달성할 만큼 성숙하지 않다"며 "대부분의 에이전틱 AI는 실질적인 가치나 ROI를 갖추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비약적 발전이 기대된다. 가트너는 에이전틱 AI를 통해 자율적으로 수행되는 일상 업무 결정이 2024년 0%에서 2028년 최소 15%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28년까지 기업용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33%가 에이전틱 AI 기능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가트너는 현 단계에서는 명확한 가치와 ROI가 입증된 경우에만 에이전틱 AI를 도입할 것을 권장했다. 기존 시스템에 AI 에이전트를 통합하는 것보다 에이전틱 AI 기반으로 워크플로우를 처음부터 재설계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강조했다.

버마 애널리스트는 "에이전틱 AI로부터 실질적인 가치를 얻으려면 개별 업무 보조보다는 기업 생산성 향상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가트너 로고 / 가트너 제공
가트너 로고 / 가트너 제공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