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글로벌 IT 리서치 및 자문 기업 가트너(Gartner)가 2030년까지 기업용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의 80%가 멀티모달(Multimodal) 방식으로 전환될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했다. 이는 2024년 10% 미만이었던 수치에서 8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기업 소프트웨어 시장의 급격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멀티모달 생성형 AI는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수치 데이터 등 여러 유형의 데이터를 단일 생성 모델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다양한 데이터 처리 능력은 생성형 AI의 활용성을 크게 강화시킨다.

로버타 코자(Roberta Cozza) 가트너 시니어 디렉터 애널리스트는 "기업용 소프트웨어의 멀티모달 전환은 비즈니스 운영 및 혁신에서의 근본적인 변화"라고 강조했다. 그는 "멀티모달 생성형 AI는 기존 모델로는 구현할 수 없었던 기능과 성능을 제공해 의료, 금융,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혁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멀티모달 AI는 도메인 특화 언어 모델의 정밀도 향상, 운영 자동화, 맥락 기반 의사결정 인텔리전스 강화를 통해 AI가 업무 전반에서 선제적으로 행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재 대부분의 멀티모달 모델은 텍스트 투 비디오(T2V), 스피치 투 이미지(S2I) 등 제한적인 모달리티에 집중되어 있지만, 향후 몇 년간 더 다양하고 새로운 모달리티가 추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멀티모달 생성형 AI 모델은 가트너의 생성형 AI 신기술 임팩트 레이더(Emerging Tech Impact Radar for GenAI)의 핵심부에 자리하고 있다. 이는 해당 기술이 파괴력이 높은 기술로 평가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코자 애널리스트는 "기업은 사용자 경험과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해 소프트웨어에 멀티모달 기능을 통합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각 사업부는 멀티모달 생성형 AI가 제공하는 다양한 데이터 입출력을 활용해 새로운 차원의 생산성과 혁신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품 리더들은 고객이 한 단계 높은 비즈니스 가치를 달성할 수 있도록 이러한 신흥 AI 기술 투자에서 전략적인 결정을 내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가트너 고객은 '신기술 임팩트 레이더: 생성형 AI'와 가트너 특별 보고서 '신기술: 생성형 AI 주요 활용 사례'에서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생성형 AI 신기술 임팩트  / 가트너 제공
생성형 AI 신기술 임팩트 / 가트너 제공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