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시스템(OCCS)이 탑재된 HMM의 2200TEU급 컨테이너 운반선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저장시스템(OCCS)이 탑재된 HMM의 2200TEU급 컨테이너 운반선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삼성중공업이 국내 최초로 실해상 운항 선박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자원화하는 기술 실증에 성공하며, 조선업의 탈탄소 전환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삼성중공업은 7월18일, HMM, 파나시아, 한국선급(KR)과 공동 수행한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시스템(OCCS)’ 실증 결과를 발표하며, 지난해 7월부터 HMM의 2,200TEU급 컨테이너선에 설치한 아민 흡수 기반 포집 시스템을 통해 운항 중 배출되는 CO₂를 연료로 전환 가능한 형태로 수거·활용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OCCS 실증은 단순 포집 기술에 그치지 않고, 운항 중 발생하는 폐열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해 추가 연료 소비 없이 포집 효율을 극대화한 점에서 의미가 깊다. 특히 올해 1월과 5월 두 차례에 걸쳐 포집된 CO₂는 순도 99.9% 이상의 액화 상태로 확보, 이후 이를 친환경 메탄올 생산의 원료로 활용하는 데 성공했다.

이처럼 포집된 CO₂를 단순 저장하는 데 그치지 않고, 탄소 자원화(Carbon Utilization)를 실현한 것은 ‘탄소 순환 경제’의 조선·해운 부문 확장 가능성을 실증한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산업계에서는 탈탄소와 연료 다변화가 동시에 요구되는 선박 운항 환경에서, OCCS가 넷제로(Net Zero) 전환을 위한 실질적 대안으로 부상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실증의 기술적 성과와 별개로, 포집된 CO₂의 처리 및 활용을 위한 육상 연계 인프라 부족은 향후 상용화를 가로막는 주요 장애 요인으로 지적된다. 포집된 액화 CO₂를 저장·운송·처리하기 위한 법적 제도 마련과 항만 인프라 구축이 병행되지 않는다면 기술 상용화의 속도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삼성중공업 이동연 조선해양연구소장(부사장)은 “OCCS는 탄소 배출 저감뿐 아니라 친환경 연료 생산을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며 “조선·해운·기자재 업계가 유기적 협업을 통해 시장 선점을 위한 탈탄소 밸류체인 구축에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