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HJ중공업이 부산·경남의 조선 및 기자재 전문기업 10곳과 함께 ‘MRO 클러스터 협의체’를 공식 출범시켰다.
이번 협의체는 함정 유지·보수·정비(MRO,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사업에서 각 사의 역량을 결집해 국내외 MRO 시장을 선점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동반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MRO 클러스터는 지난 7월22일 HJ중공업 영도조선소에서 열린 업무협약(MOU) 체결식을 통해 공식화됐으며, 앞으로 기술·인력·자원·시설의 공동 활용을 통해 MRO 사업 입찰과 수행에서 긴밀한 협력을 펼칠 예정이다.
■ 20조원 美 함정정비시장 정조준…지역산업 ‘합종연횡’ 본격화
글로벌 방산업계에서 MRO 산업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고부가가치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미국 해군의 MRO 시장은 약 20조 원 규모로 추산되며, 국제적인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 이에 국내 주요 조선·방산업체들이 MRO 경쟁력 강화를 통해 해외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가운데, HJ중공업은 기자재 산업이 밀집한 부산·경남 지역의 강점을 적극 활용해 클러스터 중심의 MRO 전략을 구체화했다.
특히 조선기자재 중심의 중소기업들이 대기업과의 수평적 파트너십을 통해 함께 해외 수주에 나설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점은 상생 협력의 모범사례로 주목된다.
■ 특수선 강자 HJ중공업, ‘1,200척 경험’ 기반 해외 MRO 정조준
HJ중공업은 이번 클러스터를 통해 그동안 축적해온 함정 건조 및 정비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시장 확대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1974년 국내 최초로 해양방위산업체로 지정된 이후 1,200여 척에 달하는 군함과 군수지원체계를 구축해온 경험은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신뢰의 이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특히 현재 추진 중인 미 해군과의 MRO 정비협약(MRSA) 체결이 성사될 경우, 클러스터 내 기업들의 글로벌 조달시장 진입 가능성도 확대된다. HJ중공업은 이를 통해 지역 중소기업과 동반 진출하는 MRO 생태계 조성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