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태양광 발전단지/IEA 제공
북유럽 태양광 발전단지/IEA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유럽연합(EU) 태양광 발전 시장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성장률 둔화세에 접어들었다.

유럽태양광산업협회(SolarPower Europe)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에 따르면, 올해 태양광 신규 설치 증가율이 하락함에 따라 2030년까지 목표한 누적 설비용량 750GW를 달성하지 못하고 약 723GW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가장 큰 원인은 가정용 태양광 설치 수요 급감이다. 2020~2023년 사이 전체 태양광 설치량의 약 30%를 차지하던 가정용 부문은, 2025년 들어 15% 수준으로 반토막 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요금 하락과 정부 보조금 축소가 투자 유인을 약화시킨 핵심 요인으로 지목된다.

■ 전기요금 안정과 보조금 축소, 가정용 태양광의 '위축' 초래

2022~2023년 유럽 에너지 위기 국면에서 고전력요금에 대응해 급격히 확대됐던 가정용 태양광 수요는 현재 안정세로 접어든 전기요금과 함께 급격한 위축세로 돌아섰다. 여기에 독일, 네덜란드 등 일부 국가에서는 직접 투자 보조금이나 순발전차액 보장 제도의 축소가 이어지며, 민간 설치 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분산형 태양광의 확산 속도 둔화, 나아가 전력망 유연성 확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으로 지적되고 있다.

■ 산업·상업용 프로젝트는 지속 성장… 신규 설치량 절반 이상 차지

반면, 태양광 시장의 산업·상업용 및 대규모 프로젝트 부문은 여전히 건실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유틸리티 중심의 대규모 발전단지는 전체 신규 설치량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며, 특히 스페인·이탈리아·폴란드 등지에서 전력구매계약(PPA)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이는 정책과 금융 구조가 안정적이고, 부지·설비 단가 하락 등으로 수익성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기 때문이다.

■ EU, '저장'과 '유연성' 강조… 시스템 가치 회복이 핵심

이 같은 성장 둔화 속에서, EU 집행위는 각국에 배터리 저장 용량 확대와 전력망 유연성 확보를 주문하며, 태양광 전력의 ‘가치 복원’에 집중하고 있다.

태양광의 변동성과 출력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가정용 배터리 보급 확대, 스마트 그리드 도입, 수요반응 체계 구축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EU는 2026년까지 회원국별 재생에너지 저장 전략 제출을 의무화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 시사점: 분산형 태양광에서 시스템 중심 전략으로 전환 시기

EU 태양광 시장의 성장률 둔화는 단기적 수요 조정 국면으로 볼 수 있지만, 가정용 시장의 장기적 활력 저하는 분산형 에너지 체계의 기반을 흔들 수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정책은 단순한 보조금 복원보다, 태양광 전력의 계통 내 ‘가치 상승’을 위한 저장 및 유연성 확대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