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29일 개최한 '2025년 제2차 전력계통 혁신 포럼'에서 소규모 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의 숙원인 송배전망 접속 지연 문제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현재 태양광 등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들은 전력을 생산하고도 한국전력공사의 송배전망 부족으로 인해 접속하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는 재생에너지 확산 정책과 현실 인프라 간의 괴리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지적돼 왔다.
정부는 이번 포럼에서 접속이 시급한 437㎿ 규모에 대해 연내 접속을 완료하겠다는 구체적 목표를 제시했다. 대상 지역은 대구, 광주, 전북, 전남, 경북 등 재생에너지 설비가 집중된 지역들이다.
핵심 해결책은 인프라 확충과 기술 고도화다. 정부와 한전은 설비 증설을 위한 자재 확보와 변전소 입지 확정을 신속히 추진한다. 동시에 인버터의 지속 운전 성능을 강화하고 송배전망 관제 운용을 정밀화하는 기술적 개선책도 병행한다.
특히 배전망 제어 정보 연계 고도화 2차 작업을 통해 출력 제어의 신속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1차 연계 작업이 지난 6월 완료된 만큼, 이번 2차 작업은 시스템 안정성 제고에 중점을 둘 것으로 보인다.
주민 수용성 제고 방안도 주목된다. 정부는 전력 설비 관련 전자파 발생 측정량과 발생 방향 등 세부 정보를 홈페이지에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했다. 그간 전력 설비 구축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우려가 사업 지연 요인 중 하나였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다.
이번 대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그동안 '발전은 하되 판매는 못하는' 소규모 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의 어려움이 상당 부분 해소될 전망이다. 다만 근본적인 송배전망 확충에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한 만큼,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지속적인 투자와 정책 추진이 관건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