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HDPE 선질 시제 어선(2.99톤) 카이브3호./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제공
국내 첫 HDPE 선질 시제 어선(2.99톤) 카이브3호./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제공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기존 어선 소재인 FRP(섬유강화플라스틱)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신소재 어선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건조됐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소재를 활용한 시제 어선을 건조하고 성능 테스트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HDPE(High-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한 종류로, 기존 FRP 대비 부식에 강하고 강도가 뛰어나 유지보수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100% 재활용이 가능해 환경 친화적인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반면, FRP는 시간이 지나면서 부식이 발생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HDPE 소재 어선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번 시제 어선은 해양수산부 국비 예산을 활용한 'AI 기반 어선안전 설계 데이터 플랫폼 개발' 과제 지원을 통해 건조됐다. 지난 12월 부산광역시 강서구 인근 해역에서 진행된 성능 테스트에서 2.99톤급 HDPE 어선은 최대 속력 32노트를 기록하며, 동일 규모의 FRP 어선(25노트)과 알루미늄 어선(30.7노트)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KOMSA는 이번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HDPE 어선의 설계 기준을 정교화하고, 안전 시스템을 개발해 어선의 안전성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친환경적이면서도 유지 비용이 적은 HDPE 어선 건조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어업 현장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국내 어선 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준석 KOMSA 이사장은 "초기에는 FRP 대비 건조 비용과 기간에서 다소 불리할 수 있지만, 기술 발전과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면 경제성과 성능 측면에서 모두 뛰어난 대안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어선의 안전 강화와 어선 건조 산업의 선진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