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기반해법 사례./ 환경부 제공
자연기반해법 사례./ 환경부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가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이라는 인류 공동의 과제를 풀기 위한 해법으로 ‘자연기반해법(Nature-based Solutions, 이하 NbS)’에 주목하고 있다.

환경부는 국립생태원, 세계자연보전연맹(IUCN)과 공동으로 오는 5일 ‘세계 환경의 날’ 공식 기념 행사 일환으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자연기반해법 국제 학술토론회(심포지엄)'를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손실이라는 이중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생태계 기반 해법의 방향성을 모색하고, 국내 NbS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국제 협력과 정책적 통찰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행사에는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 한화진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오영훈 제주도지사, 스튜어트 매기니스 IUCN 사무차장 등이 참석한다. 전국 시도 연구기관과 학계, 공공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도 함께한다.

특히 이번 행사에선 IUCN이 제시한 ‘자연기반해법’ 정의와 8대 기준을 중심으로 전 세계 정책 동향과 우수 사례가 공유된다. 국립생태원과 순천시는 각각 NbS 평가 지표 개발 사례와 국내 적용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Nbs 우수사례 확산 힘쓸 것”

IUCN이 제시한 NbS 기준은 △당면한 사회문제의 명확화 △생물다양성 증진 △경제적 실행 가능성 △포용적 거버넌스 구축 △증거 기반의 적응적 관리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는 단순한 생태 복원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의 전략적 도구로 NbS를 활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토론 세션에는 송형근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회장, 안광국 충남대 교수, 로레다나 스쿠토 IUCN 프로그램 담당자 등 국내외 전문가 6명이 참여해 자연기반해법의 적용 가능성과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간다.

자연기반해법은 숲·습지·갯벌 등 생태계를 보전·복원하는 방식으로 탄소 흡수, 홍수 저감, 도시 열섬 완화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통합적 접근 방식이다. 이번 심포지엄은 이런 NbS가 단순한 환경 관리 기법을 넘어 기후위기 대응의 중심축이 돼야 함을 강조한다.

김태오 국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자연기반해법의 국제적 기준을 국내 정책에 접목할 수 있는 계기”라며 “정부는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NbS의 현장 적용과 우수사례 확산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NbS를 중심으로 한 생태 기반 정책의 고도화 및 탄소중립 전략 연계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