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여파로, 지난 5월 미국 항만의 해상 수입량이 전년 대비 28.5%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미국 최대의 해상 수입국으로, 이 같은 급격한 교역 감소는 소매·제조업 전반의 공급망 재편을 촉진할 수 있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 서부 항만, ‘중국발 물류’ 급감 직격탄… 무역량 연쇄 하락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것은 로스앤젤레스, 롱비치 등 미국 서부 항구들이다. 이들 항구는 미 전체 대중국 해상화물의 상당량을 취급하는 주요 관문으로, 5월 들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물동량 감소를 기록했다.
항만협회 및 무역업계에 따르면, 주요 선사들은 이미 중국발 항로에 대한 항차 축소 및 대체 공급선 전환을 시작하고 있으며, 한국·멕시코·베트남 등 제3국 경유 전략이 부상하고 있다.
■ 공급망 직격탄 맞은 美 소매·제조업… “LNG·배터리 장비도 예외 아냐”
이번 관세 강화는 단순 소비재뿐 아니라 태양광 모듈, 리튬배터리, LNG 기자재, 통신장비 등 주요 제조업 장비군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이에 따라 미국 내 청정에너지 인프라 투자, 배터리·수소 생산시설 장비 조달 등도 지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부 기업은 관세 회피를 위해 미국 동부·멕시코만 지역을 통한 대체 항만 활용을 검토 중이나, 단기간 내 전면 대체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 공급선 다변화 본격화 vs 소비자 물가 상승 리스크
미국 정부는 이번 관세 조치가 중국산 제품 의존도를 줄이고 자국 제조업 부활을 유도하기 위한 장기 전략의 일환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 소비자물가 상승, 기업 조달비용 증가, 항만 혼잡도 악화 등 부작용도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한편, 미 에너지정보청(EIA: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의 단기 에너지전망(STEO: Short-Term Energy Outlook)에 따르면, 중국산 기자재 의존도가 높은 LNG·태양광·ESS 프로젝트는 향후 일정 재조정이 불가피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