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전경./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제공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전경./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공사)가 1일 발간한 ‘2024년도 통계연감’을 통해 폐기물 감축, 재생에너지 생산, 자원화 성과는 물론 지역사회 상생 노력까지 다방면의 성과를 공개했다.

특히 폐기물 반입량이 전년 대비 17% 줄고 반입폐기물의 43%를 자원화한 점이 주목된다.

2024년 수도권매립지 반입 폐기물 총량은 107만2000톤으로 전년(129만3000톤) 대비 17% 감소했다. 2022년(39%↓), 2023년(27%↓)에 이은 3년 연속 감소세다.

공사가 이날 발표한 ‘2024년도 통계연감’에 따르면, 공사는 음식물폐수 및 하수찌꺼기 등 반입폐기물 43%(460,000톤)를 자원화해 △복토재 및 고형연료 △바이오가스(1740만3000㎥) 등으로 재활용하고, 이를 발전 연료로도 활용하고 있다. 

이 중 매립가스(LFG)를 활용한 발전으로만 188.7GWh의 전력을 생산해 판매했으며, 이는 약 5만 가구 또는 데이터센터 3기의 연간 소비 전력에 해당한다.

자원순환 전문기관으로서의 국제적 역할도 확대 중이다. 공사는 2024년 기준 5건의 해외사업을 추진 중이며, 특히 몽골 울란바토르 NEDS 매립장에서는 설계부터 운영까지 직접 수행하고 있다.

지역사회와의 상생 성과도 구체적인 수치로 확인된다. 올해 주민지원기금은 116억8000만원이 적립되면서 1992년부터 현재까지 누적 5071억원이 지역지원에 사용됐다. 관할 광역자치단체 지원금 역시 5792억원이 인천시에 지원돼 주변지역 환경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더불어 2024년 한 해 동안 2만3000여명에게 지역 일자리를 제공했고, 야생화단지(53만9000명), 드림파크 체육시설(19만5000명) 등 문화·체육 인프라도 지역 주민에게 활발히 개방됐다.

송병억 사장은 “수도권매립지는 단순한 폐기물 처리시설을 넘어 자원순환, 재생에너지 생산, 온실가스 감축, 주민 삶의 질 향상까지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환경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도 국민과 지역사회가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공사는 매립지의 계획적 운영도 이어가고 있다. 수도권매립지 총 면적은 1600만㎡로 현재 운영 중인 제3-1매립장은 매립률 64%를 기록(2025년 5월 기준) 중이다.

‘2024 통계연감’은 공사 홈페이지(www.slc.or.kr) 정보자료실을 통해 전자책(E-BOOK) 형태로 누구나 열람 가능하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