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영국 정부가 2030년까지 청정 에너지 전환 목표 달성을 위한 본격적인 ‘육상 풍력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총 40개 이상의 정책 조치를 담고 있으며, 풍력발전 재개, 인프라 현대화, 인력 확대, 민간 투자 유치를 핵심 축으로 삼고 있다.
영국 에너지안보·넷제로부(Department for Energy Security and Net Zero)는 오는 2030년까지 27~29GW 규모의 육상 풍력 발전 설비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는 기존 풍력 발전 역량을 대폭 확장하는 계획으로,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안보 강화라는 국가 전략과도 직결된다.
■ 노후 설비 교체·사업 속도 향상 중심
이번 전략의 주요 내용은 최대 10GW 규모의 중단된 프로젝트 재개, 노후화된 터빈 교체, 그리고 프로젝트 실행 속도 제고다. 영국 내 일부 육상 풍력 단지는 기술 노후화로 인해 출력 저하 및 안전성 문제가 지적되어 왔으며, 이를 최신 고효율 터빈으로 교체함으로써 단위 면적당 출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업 승인 절차의 간소화 및 전력망 접속 효율화를 통해, 신규 프로젝트의 착공까지 걸리는 시간을 대폭 단축하겠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정부는 이를 통해 투자자의 불확실성을 낮추고, 개발사의 시장 진입 장벽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풍력 산업 인력 두 배 확대… 일자리 창출도 병행
영국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풍력 관련 산업의 인력을 현재보다 두 배 이상으로 확대하고, 최대 45,000개의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는 풍력 발전소 설계·건설뿐만 아니라 운영·유지보수, 지역 기반 제조업까지 포함하는 전방위적 고용 창출 효과를 노린 것이다.
동시에 영국 정부는 수십억 파운드 규모의 민간 투자 유치를 병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책적 일관성과 규제 명확성 확보를 통해 투자자의 신뢰를 제고하고, 프로젝트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제도 개선도 검토하고 있다.
■ 넷제로(Net Zero) 전환 가속 위한 핵심 축
영국은 2050년까지 ‘넷제로(Net Zero)’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 전체 전력의 70% 이상을 저탄소 에너지원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다. 육상 풍력은 이러한 전환의 중심 축으로, 단가가 낮고 지역 수용성이 높은 발전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과거 수년간 규제와 지역 반발 등으로 인해 육상 풍력의 확장 속도가 정체되어 왔다. 이번 전략 발표는 그런 경직된 분위기를 반전시키고, 기후 목표 달성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이루기 위한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