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는 28일 오후 김성환 장관이 두산밥캣코리아 생산공장(인천광역시 동구 소재)을 방문, 지게차 등 건설기계의 전동화 기술 개발 현황을 점검하고 건설기계 전동화 보급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 방문은 두산밥캣코리아가 자체 개발한 전기 지게차를 비롯해 전동화 기술개발 현황, 충전 시설 표준화 및 보급 방안, 전기 건설기계 보급 확대 및 수출 산업화 등을 주제로 한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김 장관은 이번 방문을 통해 전기 건설기계의 보급 확대와 이를 위한 인프라 확장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며, 국내 건설기계의 전동화 전환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모색했다.

전기 건설기계 보급 미비, 전환 필요성 커져
현재 건설기계 부문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매우 높은 분야로,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동화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건설기계관리법에 따른 국내 건설기계 등록대수(약 55만 4천대) 중에서 전기 건설기계는 약 8500대(1.5%)에 불과해, 전동화 전환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지게차의 경우, 약 22만대가 등록돼 있지만 전기 지게차는 약 1천대 수준에 그쳐 전환이 더욱 시급하다.

이에 환경부는 건설기계 등록대수의 32%를 차지하는 굴착기(약 17만 8000대)의 전기화를 추진하는 전기 굴착기 보급 사업을 활성화하고, 지게차 전기화를 위한 전기 지게차 보급 사업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또 기존 내연 건설기계의 전동화 개조를 포함한 지원 사업을 재검토해 정부 예산의 효율화를 꾀하고, 전기 건설기계 출시를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강화할 계획이다.

“전기 건설기계 전환, 탄소중립 실현과 수출 증대 기회”
김 장관은 “지게차 등 건설기계 전동화는 탄소중립 달성을 실현하고,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와 수출 증대를 위한 중요한 기회”라며 "앞으로 건설기계뿐만 아니라 화물차, 농기계, 선박 등 모든 이동 수단의 전동화를 추진할 수 있도록 분야별 전동화 이행안(로드맵)을 신속하게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전동화 기술개발과 전기 건설기계 보급 확대를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이번 방문을 계기로 국산 전기 건설기계의 경쟁력을 높이고, 수출 산업화를 위한 기반을 다져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