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정철우 기자] 서울에너지공사 노동조합은 서울시가 서남 집단에너지시설 2단계 건설 사업을 재정투입 방식에서 외부 자원 활용 방식으로 변경한다고 밝힌 데 대해 "민간에 특혜를 주려는 의도"라며 비판했다.
노조는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는 공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을 강행하고 사업 추진 방식을 변경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용역은 건설사 입찰 견적가를 공사가 낸 견적가보다 1,400억원 과도하게 책정해 사업 수익성을 낮게 평가했다"고 했다.
또한 "지난 해 부터 민간 기업과 발전사들이 서울시에 사업 제안서를 제출한 정황이 있다"며 "용역 결과가 특정 민간 기업에 특혜를 주려는 의도는 아닌지 의문스럽다"고 했다.
여기에 "서울시 행정1부시장과 전·현직 기후환경본부장을 포함해 관계자를 고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남 집단에너지시설 2단계 건설은 마곡지역 주택 7만 세대와 업무시설 425곳의 열공급을 위해 열병합발전소 1기와 열전용보일러 1기를 짓는 사업이다.
그러나 2022년 건설공사 입찰 과정에서 6차례나 유찰되고 수의계약에 따라 선정된 업체도 공사비 상승을 이유로 참여를 철회하면서 좌초될 위기를 맞았다.
시와 공사, 서울연구원이 지난해 8월부터 사업 타당성 재조사를 한 결과 서울 서남권역의 안정적인 열공급을 위해 2단계 건설 사업은 필수적이나 기존 사업방식은 수익성이 부족하고 공사의 재원 조달 과정에서 재무·지급 불이행 리스크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시는 사업 출자 등 추가 재정 투입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외부 자원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