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안후중 기자] 두산에너빌리티가 국내 양수발전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3일 밝혔다. 정부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38년까지 21.5GW의 장주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구축이 필요하며 이 중 5.7GW 규모의 양수발전소 건설이 예정되어 있다.
양수발전은 재생에너지의 간헐성과 변동성을 보완하는 ESS(에너지저장장치)다. 전력수요가 적은 심야의 저렴한 전력을 이용하거나 주간에 태양광으로 발생되는 여유전력을 저장했다가 전력수요가 증가할 때 상부댐의 물을 하부댐으로 낙하시켜 전력을 생산한다. 안정적인 에너지 저장∙활용이 가능하며 수명이 길고, 화재 등 위험성도 적다는 것이 장점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세계 ESS 설비 중 양수발전의 비중은 무려 66.5%에 달한다.
김종두 원자력BG장은 "양수발전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력망 안정성을 위한 최적의 대안"이라며 "무탄소 발전 솔루션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2019년 오스트리아 안드리츠사와 협력 협약을 통해 수력 및 양수발전 주기기 설계 기술 자립의 발판을 마련했으며, 현재 한수원과 공동으로 30MW급 수차·발전기 개발에 힘쓰고 있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