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2035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설정할 경우, 산업 부문 감축목표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이 직면한 기후 정책 변화와 관련된 리스크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경영 부담도 상당하다”며 “정부는 기업들의 현실적 상황을 반영한 적절한 정책을 수립해 기업의 탄소중립을 지원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지난 3일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2030년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달성 가능성이 평균 38.6%로 평가돼 ‘낮음’ 수준이 확인됐다.
한경협에 따르면, 기업들은 감축목표 달성의 어려움을 △저탄소 산업 구조로의 전환 어려움(31.0%) △에너지 효율 개선 지연(26.2%) △경제 및 생산 위축(20.2%) △저탄소 기술 혁신 및 상용화 지연(19.0%) 등을 주요 요인으로 지적했다.
한경협은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온실가스 감축에 부정적인 상황에서 폰데어라이엔 EU(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이 기후 정책에 대한 일관된 방침을 유지하겠다고 밝힌 현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 시의적절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분석도 내놨다.
정부는 지난 2021년 발표한 ‘2030년 NDC’에서 국가 전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18년 대비 40%로 설정한 바 있다. 이후 2030년 산업부문 목표는 14.5%에서 11.4%로 축소 조정됐다. 이는 기업들 사이에 당혹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기업들은 2035년까지의 새로운 NDC 설정 시 산업부문 감축목표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공유했다. 기업들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이해관계자와의 합리적 목표 설정을 위한 소통 강화 △기후 대응 예산의 구체화 등의 정책적 보완 조치를 요구했다.
이와 함께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과정에서 국내 산업의 구조적 한계와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는 게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짚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