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온실가스 배출현황(2022년 기준). / 서울시 제공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현황(2022년 기준). / 서울시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서울시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새로운 전환점을 위해 민간과 손을 맞잡았다. 시는 10일 청사에서 건물관리단체·기업과 업무 협약을 체결, 건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협약엔 FM학회와 건축물유지관리협회 등 민간 건물관리단체와 교보리얼코, S&I코퍼레이션, 에스원, 에스텍시스템, 한화호텔&리조트 에스테이트부문 등 건물 관리 기업들이 참여했다.

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민간 건물 관리단체와 기업들이 소속 회원 건물에 온실가스 감축 정책에 대한 참여를 촉진하고 에너지 관련 시설 개선 및 효율화를 추진하도록 지원한다. 시는 이에 대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건물 부문은 약 68%를 차지하고 있어 이 부문에서의 감축이 서울시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서울시는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제’를 도입해 지난해 4281개소의 민간 및 공공 건물이 참여한 바 있다. 이 제도는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평가하고 A~B등급으로 구분, 양호한 수준을 유지한 건물들이 약 50%에 달한다는 성과를 거뒀다.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제’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을 이룬 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더욱 확대된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협약 참여 기업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 개선과 시설 개선을 통해 건물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시는 지자체의 권한 부족 속에서 민간의 자발적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현재 서울시를 비롯한 많은 지자체에는 건물 온실가스 관리를 위한 충분한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권 본부장은 “그렇기 때문에 민간의 자발적 참여와 협력은 기후 위기 대응에 있어 핵심적 역할을 한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민간과 공공이 협력해 서울을 탄소중립 도시로 만드는 데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에너지 효율화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실질적인 사업을 더욱 활성화할 예정이다. 협약에 참여한 건물 관리 단체와 기업들은 온실가스 감축 정책 참여 홍보,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 등을 통해 시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또 건물 에너지 신고·등급제를 지속적으로 강화, 민간 참여 확대와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실질적으로 줄여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