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 19일자로 ‘환경유해인자’로 인한 건강 피해 조사와 연구, 예방 및 관리 등을 위해 환경보건센터 4곳을 신규 지정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정은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한 건강 위험을 최소화하고 취약계층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다.
환경유해인자는 대기, 수질, 토양, 해양 오염 등 환경오염과 유해화학물질 등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런 유해인자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관리하는 게 환경보건센터의 주요 역할이다.
지정된 환경보건센터 4곳은 △지역지원형 환경보건센터인 강원대학교병원과 단국대학교병원 △정책지원형 환경보건센터인 부산대학교와 한국환경연구원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지난해 12월 지정 유효기간 만료 후 지난 1월 20일까지 진행된 공모 절차를 통해 최종 선정됐다.
지역지원형 환경보건센터로 지정된 강원대병원과 단국대병원은 각각 강원도와 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환경보건정책 수립 및 지원 △환경보건 취약지역 도출 △취약지역 주민 건강조사 및 역학조사 지원 등을 수행하게 된다.
정책지원형 환경보건센터로 지정된 부산대와 환경연구원은 기후변화 대응 및 환경보건 정보 빅데이터 분석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한다. 부산대는 기후변화에 따른 환경유해인자 현황 파악 및 취약계층 조사를 통해 피해 예방 활동을 펼친다.
환경연구원은 환경보건 기초정보를 통합해 데이터 기반으로 고위험 지역 분석 및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에 새로 지정된 환경보건센터를 포함, 전국에서 총 18개 환경보건센터가 운영된다.
이 중 14곳은 지역지원형 환경보건센터로 강원, 충남, 서울, 인천, 대전, 부산, 울산, 충북, 제주, 전북, 경남, 경기, 경북, 전남 등 전국 각지에 분포해 있다. 나머지 4곳은 정책지원형 센터로,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보건 정보 분석을 전문적으로 지원한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환경보건 대응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며 “특히 어린이와 노인 등 환경보건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예방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환경보건센터 지정을 통해 체계적인 연구와 정책 개발을 추진하며, 모든 국민들이 환경유해인자로부터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