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는 한국소비자원, 가전업계와 함께 마련한 ‘살생물제 안전관리 지침(가전제품편)’을 화학제품안전포털(ecolife.me.go.kr)에 24일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지침은 지난해 7월 구성된 ‘가전제품 살생물제 안전관리 협의체’가 매달 회의를 거쳐 마련한 것으로, 가전제품의 살생물제 사용 현황과 안전관리 방안을 논의한 결과물이다.
이 지침은 가전업계가 완제품 및 부품을 제조·공급하는 과정에서 적법하게 승인된 살생물제를 사용하고, 공급망 내 투명한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업계 스스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해당 지침은 특히 정부와 가전업계가 협업, 2028년부터 승인된 살생물제품만을 사용해야 하는 의무가 적용되기 전에 자발적으로 대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환경부는 올해 이 지침을 바탕으로 가전제품 분야 살생물제 안전관리 체계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생활가전 완제품 업체뿐 아니라 부품 및 원료를 공급하는 협력업체에도 살생물제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상담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2023년11월 자동차 업계와 ‘살생물제 안전관리 지침(자동차편)’을 마련한 바 있는 환경부와 한국소비자원은 시범사업을 통해 자동차업계에 살생물제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한 바 있다.
박연재 환경부 환경보건국장은 “업계 특성을 고려한 살생물제 안전관리 체계구축을 위해 자발적 참여에 기반한 민관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며 “자동차, 가전제품에 이어 섬유·침구 분야 등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현희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센터소장은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가 안심하고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살생물제 안전관리 강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