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전 세계적으로 청정에너지 비중이 급증하는 가운데, 한국은 여전히 화석연료 의존도가 높은 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심각한 장애물이 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글로벌 에너지 싱크탱크 엠버(Ember)가 발표한 ‘2025 글로벌 전력 리뷰(Global Electricity Review 2025)’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전력 생산에서 청정전원 비중이 40.9%에 달하며, 사상 최초로 40%를 넘어섰다.
이는 1940년대 이후 처음 기록된 수치로, 주된 성장 동력은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급격한 확대였다. 특히 태양광은 3년만에 발전량을 두 배로 늘리며, 전 세계 신규 전력 수요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태양광은 20년 연속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전력원으로 자리잡으며, 재생에너지 성장 기여에 발판이 됐다.
반면, 한국은 2024년 기준 화석연료 기반 발전 비중이 60%에 육박하며 이 가운데 태양광 발전 비중은 5%에 그쳤다. 이는 2021년의 4% 대비 3년 동안 고작 1%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친 수치로, 전 세계 평균인 32%와 비교하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풍력 발전 비중도 0.5%에 불과해 2020년 이후 사실상 정체 상태에 있다.
엠버의 필 맥도널드 대표는 “태양광 발전은 글로벌 에너지 전환의 엔진”이라며 “배터리 저장 기술과 결합된 태양광 발전은 앞으로 더 빠르게 성장할 것이며,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전기 수요를 충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상반된 상황에 처해 있는 한국은 이로 인해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 2024년 여름 폭염으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가 11TWh에 달하면서 기후변화 영향을 실감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의 약 20%가 냉방 수요에서 비롯됐고, 한국 역시 무더위로 인해 큰 부담을 안게 됐다.
다행히 재생에너지 증가로 전 세계적인 전력 수요 증가분의 대부분이 상쇄됐으나, 한국은 여전히 화석연료 발전에 의존하고 있어 탄소 배출량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엠버의 아디티야 롤라 아시아 프로그램 디렉터는 “아시아 지역의 청정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과 투자가 미비하다”고 지적하며 “올바른 정책과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재생에너지는 에너지 안보 강화와 화석연료로부터의 전환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주진 기후솔루션 대표는 “석탄 발전을 신속히 퇴출하고 가스 발전으로의 전환 계획은 전면 백지화해야 한다”며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화력 발전을 우대하고 재생에너지를 차별하는 전력 계통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태양광 이격거리 규제를 최소화하고 해상풍력 특구 지정 및 인허가 단일 창구 체계 등을 신속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엠버의 여섯 번째 연례 보고서는 2024년 전 세계 전력 시스템에 대한 최초의 포괄적 개요를 제공하며 88개국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 세계 전력 수요의 93%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청정에너지의 비중이 40%를 넘어서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여전히 재생에너지 전환 속도가 매우 느린 상황이다. 이는 한국이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더 강력한 정책과 투자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정치 불확실성 속 에너지업계 "장기 성장 전략 가속"
- 에스토니아, 풍력·태양광·바이오매스·수소 등서 한국과 협력 강화
- 제주에너지공사, '노경상생선언식' 개최
- 한국도시가스협회, 영남 산불 피해 복구에 5천만 원 기탁
-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준공식 개최
- "말잔치였나" 유럽 에너지 메이저들, 기후 공약 후퇴
- 미국의 청정에너지 후퇴…韓 LNG 산업에 반사이익 있을까
- 광명시, 2050 탄소중립도시 중장기 로드맵 완성
- “한국 2035년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
- 평택-유럽 녹색해운항로 구축 시 연간 140만 톤 탄소 감축
- 한전, 재생에너지 차별 논란...공정위에 ‘시장지배적 남용’ 신고 당해
- “새정부, 예측 가능하고 실현 가능한 기후 정책 추진해야”
- [기획 특집]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현황과 ‘2050 탄소중립’ 가능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