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미국산 LNG 공급 확대를 추진해온 트럼프 행정부 입장에서, 유럽이 중국과 더욱 밀착할 경우 에너지 공급망 재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미지 편집
특히 미국산 LNG 공급 확대를 추진해온 트럼프 행정부 입장에서, 유럽이 중국과 더욱 밀착할 경우 에너지 공급망 재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미지 편집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중국과 유럽연합(EU)이 미국의 관세 압박에 대응해 무역협력 강화를 논의하고 있다. 이는 에너지 전환 산업, 특히 LNG, 신재생에너지, 전기차(EV) 분야에 중대한 파장을 예고한다.

로이터(Reuters)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최근 발표에서 "베이징과 브뤼셀이 미국 관세에 대응해 경제·무역 협력 강화를 위한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90일간 대부분의 관세를 유예하고 일부를 10%로 인하하겠다고 발표한 직후 이루어진 움직임이다.

EU는 최근 자국 자동차 산업 보호를 위해 기존 10% 관세 외에 중국산 전기차에 최대 35.3%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태양광 패널 등 중국산 에너지 전환 장비에 대해서도 수입 제한을 논의 중이다. 이는 국내 생산 촉진과 공급망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적 조치로 풀이된다.

그러나 현실은 녹록지 않다. 중국은 희토류 공급의 70%를 점유하고 있으며, 태양광 제조 및 배터리 생산 능력에서도 글로벌 주도권을 쥐고 있다. 수십 년간 구축된 중국 주도의 전환 관련 공급망을 단기간에 대체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EU와 중국 간 협력이 강화될 경우, 유럽 에너지 기업들은 중국의 기술력과 자원에 접근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특히 LNG와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비용 절감과 기술 이전 측면에서 이점이 기대된다. 동시에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될 수 있다는 점은 유럽 내에서 정치적 논란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한편, 워싱턴은 이러한 유럽-중국 간 협력 움직임을 탐탁지 않게 여길 가능성이 크다. 향후 미국이 추가 대응 조치를 취할지 여부도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주요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미국산 LNG 공급 확대를 추진해온 트럼프 행정부 입장에서, 유럽이 중국과 더욱 밀착할 경우 에너지 공급망 재편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플라크민스 LNG(Plaquemines LNG) 프로젝트 등 미국 LNG 수출 확대 전략에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