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와 조달청이 16일 오전 서울지방조달청에서 녹색 공공조달 활성화와 녹색 조달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번 협약은 공공구매력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고 녹색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기업의 공공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협약은 부처 간 협업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지속가능한 공공조달 체계로의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녹색제품의 공공시장 진입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 강화 △기후위기 대응 혁신수요 발굴 및 조달 연계 △녹색 조달기업 성장 지원 및 홍보 △순환경제형 조달제품 발굴 및 육성 △공공조달 녹색전환 기반 마련 등 전방위적인 협력에 나선다.

특히 입찰 평가 시 녹색기술인증 기업에 대한 배점을 확대하고 환경표지인증 및 저탄소제품, 환경부장관 표창 수상기업에 대한 가점 부여 등 실질적인 혜택이 제공될 예정이다.

더불어 녹색기업을 대상으로 한 전시회 참여 지원, 탄소중립 혁신제품의 시범구매, 해외 진출 지원도 함께 추진된다.

환경부는 향후 최소녹색기준제품 확대, 탄소성적표지 제도 확대 도입 검토, 녹색조달 체계 전환을 위한 연구도 병행해 중장기적 정책 기반도 다질 계획이다.

김완섭 장관은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은 ‘소비의 전환’이며, 녹색소비 확대는 기후위기 대응과 지속가능한 경제를 동시에 이끄는 열쇠”라며 “녹색제품 시장을 키우고 환경과 산업이 함께 성장하는 구조를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탄소중립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국가의 전략 과제”라며 “환경부와의 협업을 통해 중소·벤처·혁신기업이 공공조달을 발판 삼아 저탄소 산업 생태계의 중심으로 도약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와 조달청은 올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제도 개선에 착수, 녹색조달이 정부 구매정책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추진력을 높일 방침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