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균 한국전기연구원장(왼쪽)과 김동래 해군 전력분석시험평가단장이 차세대 함정 전동화 분야 기술 개발 및 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11일 체결했다. /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김남균 한국전기연구원장(왼쪽)과 김동래 해군 전력분석시험평가단장이 차세대 함정 전동화 분야 기술 개발 및 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11일 체결했다. /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한국전기연구원(KERI)과 해군 전력분석시험평가단이 11일 창원본원에서 차세대 함정 전동화 분야 기술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함정 전동화 설계·건조 기술 발전을 위한 연구 협력과 자료·정보 교환, 학술대회 및 세미나 등 교류 활성화에 나서기로 했다.

최근 육상의 전기차처럼 함정 분야에서도 전기추진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전기추진 시스템은 배터리나 발전기 전력으로 추진 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으로, 친환경적이며 연료비가 저렴하다. 또한 소음과 진동이 적고 설치 위치가 자유로워 설계 유연성이 높으며, 기존 디젤엔진 선박보다 조종 능력이 뛰어나다.

특히 전기추진 시스템은 대규모 전력을 필요로 하는데, 이는 레일건 등 미래 무기체계와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신무기 탑재를 가능하게 하고, 자동화·무인화·네트워크화를 위한 ICT 체계 구축도 가능하다.

KERI는 2015년 국내 최초, 세계 3번째로 구축한 '전기선박 육상시험소(LBTS)'를 통해 전기추진 체계 기반의 잠수함 및 선박 기술 개발을 선도해왔다.

김남균 KERI 원장은 "함정의 전동화 및 첨단화를 통해 생존성과 작전 수행 능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며 "양 기관 협력을 통해 차세대 함정의 설계·건조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