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UST KERI-KIMS 공동 학술제'가 23일 한국전기연구원(KERI)에서 열렸다. /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2025년도 UST KERI-KIMS 공동 학술제'가 23일 한국전기연구원(KERI)에서 열렸다. / 한국전기연구원 제공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한국전기연구원(KERI)과 한국재료연구원(KIMS)이 23일 KERI 창원본원에서 'UST KERI-KIMS 공동 학술제'를 개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학술제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에서 학업과 연구를 병행하고 있는 학생 연구자들의 성과를 공유하고 지식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UST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인력과 첨단 시설을 활용해 과학기술 분야 미래 인재를 양성하는 국내 유일의 국가연구소대학원이다. 일반 대학원과 달리 연구기관 자체가 캠퍼스 역할을 하여 학생들이 실제 연구현장에서 실험과 학습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행사는 구두 발표와 포스터 발표로 나뉘어 진행됐다. 1차 선발된 14명의 학생이 무대에서 PPT 발표를 진행하는 구두 발표 부문과 31명이 참여한 포스터 발표 부문으로 구성됐다.

UST 교수진의 심사를 거친 시상식에서는 구두 발표 부문 대상에 KERI의 강재범(준전기항공기용 권선계자형 동기 발전기 설계), 후이 르 쾅(3D프린팅 자기 메타물질), KIMS의 살라후딘(암 진단용 광학 바이오센서 개발) 등 3명이 선정됐다. 이들은 올 가을 UST 본부 학술문화제 참가 자격을 얻었다.

포스터 부문 대상은 최지호(KERI), 허성준(KIMS) 학생이 수상했다.

김남균 KERI 원장은 개회사에서 "동료와 밥을 같이 먹는 팀이 연구 실적도 좋다"며 "'eat together'를 통해 '나'를 '우리'로 확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원장은 "학생 연구자들이 본인의 성과를 자랑하고 다른 분야와 비교하면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미래 과학기술인을 꿈꾸는 학생들에게 UST가 최고의 선택지"라고 말했다.

최철진 KIMS 원장은 "연구는 정답을 넘어 새로운 질문을 던지는 여정"이라며 "학생들의 도전과 실험 자체가 이미 큰 성과"라고 평가했다.

현재 UST-KERI 스쿨에는 전기기능소재공학, 전기에너지변환공학 전공 총 40명(박사 12명, 통합 15명, 석사 13명)이 재학 중이며, UST-KIMS 스쿨에는 신소재공학 분야 총 20명(박사 6명, 통합 12명, 석사 2명)이 재학하고 있다. 이 중 외국인 유학생은 KERI 13명, KIMS 11명이다.

KIMS는 내년 우주항공재료공학 전공을 신설할 예정이며, 양 기관은 경남도 등 지자체,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UST 학생들의 연구환경과 복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