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전기차와 충전기 간 호환성 문제를 상시 해결할 수 있는 '글로벌 상호운용성 시험센터(GiOTEC)'를 세계 최초로 개소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이날 오후 KERI 안산분원에서 열린 개소식에는 김남균 원장을 비롯해 국가과학기술연구회 김영식 이사장, 현대차·기아 이승희 상무, 미국 EVgo의 Keith Beckstead 연구소장 등 기관·기업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전기차와 충전기 간 상호운용성 문제는 물리적 연결인 '커플러'와 충전 절차 및 통신 프로토콜인 '시퀀스' 두 부분으로 나뉜다. 커플러는 국가기술표준원의 콤보1 권고로 호환성을 확보했지만, 시퀀스 부분에서는 제조사별 표준 해석 차이로 인해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국내외 다수의 완성차 업체와 다양한 충전기 제조사들이 인프라 구축에 참여하면서 기술적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PnC(전기차 내 인증서 충전 결제), V2G(양방향 충전) 등 신기술 도입 시 오류 발생 빈도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GiOTEC은 다양한 전기차 및 충전기 제조사를 연결하는 플랫폼 역할을 한다. 운영위원회가 설정한 기술 기준을 통과한 기업은 회원이 되어 6개월에서 1년간 자사 제품을 시험장에 배치할 수 있으며, 다른 제조사 제품과 자유롭게 상호운용성 시험을 진행할 수 있다.
비회원도 별도 신청을 통해 3~5일간 시험 기회를 얻을 수 있으며, 제조사 동의 하에 시험 결과와 개선 방안을 다른 회원사와 공유한다. 축적된 데이터는 제품 품질 개선과 국제표준 선도 기반으로 활용된다.
KERI는 전력기기 국제공인 시험인증기관으로서 제3자 관점에서 시험 결과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보증한다. 또한 글로벌 300개 이상 기업이 참여하는 국제전기차충전기술협의체(CharIN)가 지정한 '제1호 전기차 글로벌 상호운용 적합성 평가기관'이어서 시험 결과의 국제 통용성도 확보된다.
이번 개소식에서는 미국 전기차 충전서비스업체 EVgo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품질 개선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미국 급속충전 네트워크 분야 선도기업인 EVgo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 충전기 제조사들의 미국 진출 지원도 기대된다.
김남균 KERI 원장은 "전기차와 충전기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동작하는 관계인 만큼 상호 호환이 필수"라며 "GiOTEC은 국내 기업에게 빠르고 정확한 시험을 제공해 제품 품질 향상과 수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KERI는 향후 전기차 및 충전기 기술 발전을 위한 협업 파트너인 GiOTEC 회원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전기차 시대를 선도하는 핵심 기관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전했다.

- KERI 원장, 저출생 극복 앞장
- KERI, 반도체용 맞춤형 펄스전원 개발
- KERI, 실리콘-그래핀 복합음극재 양산 눈앞
- 한국전기연구원, '중간층' 기술로 전고체전지 상용화 앞당긴다
- KERI-창원대 '리서치 캠프' 1기 수료생 12명 배출
- [인사]]한국전기연구원
- 전기연-재료연, UST 공동학술제 개최
- 한국전기연구원, 열전모듈 상용화 앞당긴다
- K-전력기기 르네상스의 숨은 영웅
- 나노입자 합성 새 기술 개발
- 한국전기연구원· 해군, 창원서 업무협약…설계·건조 기술개발 추진
- AI로 치매 전 단계 85% 정확도 진단
- 황화구리 나노소재로 욕창 조기 진단 시대 연다
- 한국전기연구원, MV급 하이브리드 직류 차단기 국내 첫 개발
- 한국전기연구원, 창립 49주년 맞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