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전국 수소 실증 프로젝트로 '재생 수소 1천 톤 이상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전국 수소 실증 프로젝트로 '재생 수소 1천 톤 이상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중국 정부가 수소경제 구축을 위한 '전국 단위 수소 시범사업(Hydrogen Pilot Program)'에 착수하며,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11개 분야의 핵심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기술 발전성과, 탄소 감축 효과, 상업적 수익성 등을 종합 평가해 수소 산업 전주기에 걸친 실증·확산 체계를 구축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중국 국가에너지국(NEA)과 과학기술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100MW급 이상 재생에너지 기반 수전해(PEM Electrolysis) 설비, 원자력 기반 수소 생산,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hydrogen microgrid) 실증을 포함한 대형 수소 클러스터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 1천 톤 이상 재생 수소 의무화…지방정부·국유기업 중심 '경쟁형 신청제'

중국 정부는 연간 최소 1,000톤 이상의 재생 가능 수소 사용을 의무화하고, 이를 위해 지방정부와 중앙 국유기업(SOE)을 중심으로 최대 5개 프로젝트와 2개 지역을 시범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는 수소경제의 지역별 불균형을 완화하고, 표준화된 인프라 확산을 유도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실증 대상에는 그린수소 생산 (태양광·풍력 기반 수전해 / 원전 기반 열화학 수소 생산 등),  수소 운송 및 저장 기술 (액화수소, 고압기체, 고체저장 등), 연료전지 응용 확대 (버스·트럭·철도·선박 등 산업모빌리티 전환), 독립형 수소 마이크로그리드 (에너지 자립형 산업단지 모델),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 정량 평가 시스템 구축 등이 포함된다. 

중국 정부는 기술개발뿐 아니라 상업화 모델의 자생 가능성, 시장 수요와의 정합성, 지역 내 재생에너지 인프라와의 연계 가능성 등도 평가 기준에 포함한다고 밝혔다.

■ 중국, 수소경제 전략 ‘지방 실험 → 전국 확산’ 단계로 진입

이번 시범사업은 중국이 추진해온 '지방 중심 수소 시범도시(2021)' 및 '산업응용 중심 지구(2022)' 전략을 넘어, 국가 차원의 통합 실증 플랫폼을 구축하려는 전략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특히 수전해 기반 재생수소의 대규모 보급을 통한 전력망 통합, 계통안정성 강화,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 활용 측면에서도 큰 기대가 걸려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자국 수소 기술 생태계를 가속화하는 한편, 글로벌 수소 밸류체인에서 기술 표준화 주도권을 확보하려는 포석”이라고 분석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