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중국이 보하이해(Bohai Sea)의 켄리 10-2(Kenli 10-2) 유전 1단계 사업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해상 중앙처리플랫폼(central processing platform)을 성공적으로 설치하며 해양 에너지 개발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 혁신의 신기록을 세웠다. 이번 프로젝트는 중국해양석유총공사(China National Offshore Oil Corp, CNOOC)가 개발을 주도했으며, 보하이해 10억 톤급 원유지대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번에 설치된 중앙처리플랫폼은 생산 및 생활 시설을 통합한 다기능 구조물로, 높이 22.8m, 면적은 표준 농구장 약 15개에 달한다. 설계 중량만 2만 톤이 넘으며, 이는 보하이해에서 지금까지 설치된 해상 원유·가스 플랫폼 중 최대 규모다.
CNOOC에 따르면, 기존 해상 크레인의 인양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플로트오버(float-over) 기술이 적용됐다. 조수의 자연적인 힘을 활용해 상부 구조물을 바다에 고정된 재킷 위에 정밀하게 올려놓는 방식으로, 이번 시공은 국내 해양 엔지니어링의 새로운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
켄리 10-2 유전은 톈진(天津)에서 약 245km 떨어진 보하이해 남부에 위치하며, 확인된 지질 원유 매장량이 1억 톤을 넘는 중국 최대 해상 리소직(lithologic) 유전이다. 이번 1단계 플랫폼 설치로 전체 공정의 85% 이상이 완료됐으며, 연내 생산 개시를 목표로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다.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보하이유전(Bohai Oilfield)의 연간 원유·가스 생산량을 4000만 톤까지 끌어올려 베이징·톈진·허베이(京津冀) 및 보하이 지역의 에너지 공급 안정성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특히 이번 설치 과정에서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과 디지털 기술이 대거 활용됐다. CNOOC는 주설치선에 AI 기반 베이더우(BeiDou) 위치추적 시스템 3대를 탑재하고, 다수 예인선의 협업 운항을 통해 단 한 번의 시도만에 정밀 배치에 성공했다. 복잡한 해상 조건에서 초대형 플랫폼 플로트오버 설치의 새로운 기록을 세운 것으로, 중국 해양 엔지니어링 기술의 세계적 수준을 입증했다.
품질과 안전관리 역시 통합·표준화·디지털화된 솔루션으로 관리해, 프로젝트의 고품질·고안전 완공을 달성했다. CNOOC는 이번 스마트 통합 생산·관리·안전 시스템이 혁신적 저탄소 지능형 해상 플랫폼 구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최근 몇 년간 해양 심해 탐사와 초대형 해상 장비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플로트오버 기술 등 핵심 역량에서 세계 선두권에 진입했다. CNOOC에 따르면, 현재까지 50기의 대형 해상 플랫폼 플로트오버 설치를 완료했으며, 단일 장비 최대 3만2,000톤, 누적 60만 톤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가 에너지 안보를 위해 안정적이고 충분한 원유 공급이 필수적”이라며, 켄리 10-2 유전이 중국 해상 원유·가스 자원 비축을 강화하고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데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용어 설명 :
· 베이더우(BeiDou) 위치추적 시스템 = 중국이 개발하여 운영하는 범지구 위성 항법 시스템(GNSS). 미국의 GPS, 러시아의 GLONASS, 유럽 연합의 Galileo와 유사하게, 위성 신호를 통해 전 세계 어디에서든 사용자에게 정확한 위치, 속도, 시간 정보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베이더우 시스템은 높은 정밀도와 단문 메시지 통신 기능을 통합하고 있어 해양, 농업, 교통, 재난 구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정밀한 위치 결정 및 통신 서비스에 활용된다. 2020년 7월에 최종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며 전 세계적인 서비스 제공을 시작했다.
· 리소직(lithologic) 유전 = 지층의 암석학적 특성(암석의 종류, 구성, 배열 등)에 의해 탄화수소(원유 및 천연가스)가 특정 위치에 포집되어 형성된 유전. 즉, 단층이나 습곡과 같은 구조적인 요인보다는 다공성과 투과성을 가진 저류암과 이를 덮는 불투과성 덮개암의 분포, 암석 자체의 구성 변화(예: 사암이 점토암으로 변하는 부분) 등 암석의 리솔로지(lithology, 암석을 구성하는 물질의 물리적 특징과 배열 방식) 특성 변화에 의해 유체가 갇히게 되는 유형의 유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