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환경부는 최근 집중호우로 발생한 재난폐기물의 신속한 수거와 적정 처리를 위해 ‘폐기물 처리지원반’을 운영하고, 23일 오송역 인근 회의실에서 관계자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환경부 자원순환국과 7개 유역(지방)환경청 소속 공무원, 한국환경공단 전문가 등 70여 명이 참여해 △재난폐기물 발생 규모 산정, △처리 상황관리, △현장점검 및 기술지원, △수거장비 지원, △폐기물 처리비 국비 지원방안 등을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특히 지자체의 신속한 대응을 위해 수거·운반·처리 용역 발주 현황과 일일 실적을 관리하며 계약이 지연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집중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정부 복구계획 확정과 동시에 국비 편성도 신속히 추진한다.
정확한 피해 규모 파악을 위해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에 환경공단 전문가도 투입한다. 이번 집중호우로 축산농가 234곳(약 38만㎡) 이상이 침수되면서 악취, 부패, 해충 등 2차 피해 우려가 높은 축산폐기물 발생량이 상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복구계획 확정 전이라도 지자체가 자체 예산으로 우선 처리하고, 사후 국비 정산이 가능하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유역(지방)환경청은 재난폐기물 임시적환장, 수거·처리 현장에 대해 매주 점검을 실시하고 민원 대응에도 총력을 기울인다. 지정폐기물에 대해서는 석면 슬레이트, 폐유 등 적정 처리 기준을 안내하고, 안전한 관리도 병행한다.
환경공단은 재난폐기물 처리계획 검토, 임시적환장 위치 선정, 수거 동선 설계 등 실질적인 기술지원을 제공한다. 수거장비 부족 지자체에 대해서는 전국 109명의 집게차 보유사업자를 연계해 현장 지원도 가능하도록 했다.
폐가전제품과 폐태양광 패널의 수거·재활용도 적극 추진된다. e순환거버넌스를 통해 지자체(031-8014-5412)나 주민(1599-0903)이 요청하면 방문 수거를 지원한다.
환경부는 이미 지난달 ‘수해 재난폐기물 산정 및 관리 지침서’를 지자체에 배포, 재난폐기물 담당 공무원 150여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는 등 선제적 대응 체계 구축에도 나섰다.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재난폐기물 처리는 피해지역 복구의 첫 단계다”라며 “피해 주민들의 신속한 일상회복을 위해 환경부와 지자체의 모든 가용 인력 및 자원을 동원하여, 재난폐기물의 신속한 처리 및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삼천리그룹, 수해 복구에 3억원 긴급 지원
- HD현대, 수해 복구에 10억 원 긴급 지원…장비·인력 총동원
- 서부발전, 태안 폭우 피해 현장 긴급 복구 지원
- 가스안전公, 집중호우 대비 '비상 대응 체계' 가동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10대 재난 유형별 대응체계 수립
- 환경公, 특별재난지역 수해복구 ‘총력’...“109대 장비 대기 중”
- “강은 흘러야 한다”...김성환 환경부 장관, 세종보 농성현장 첫 방문
- 기후테크로 탄소중립 해법 찾는다...K-eco, 정책·기술 포럼 성료
- 한국환경공단, 전국 수해복구 '전사 총력전'
- 환경公, 전국 수해현장서 대규모 복구지원 총력
- 환경公, ‘K-자원순환’ 세계 확산 박차...GPAP와 기술 협력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