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에너지 박명종 기자] LS와 한진이 친환경 물류 기반의 스마트 전동화 및 전력 신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3일 발표했다.
이날 업무협약(MOU) 체결식에는 김대근 LS이링크 대표와 노삼석 한진 대표이사 사장, 조현민 한진 사장을 비롯해 양측 임직원 10여 명이 참석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LS이링크의 대용량 전기 충전 기술과 한진의 전국 물류 네트워크를 결합해 물류 인프라 전동화에 나선다. 주요 협력 분야는 △물류 인프라의 전동화 △신재생에너지 및 전력 신사업 추진 △대규모 차량 운용 데이터 기반 통합 운영 플랫폼 구축 등이다.
양사는 연내 한진 부산 컨테이너터미널에 항만 물류 전동화를 추진하는 것을 시작으로 전국 물류거점에 총 5000kW급의 대규모 전기 충전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는 전기 트럭 100여 대가 동시에 충전 가능한 규모다.
현재 LS이링크는 대형 물류·운수업체를 대상으로 B2B 맞춤형 충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한진은 부산, 인천, 평택 등 주요 항만과 전국 각지 물류터미널을 운영하며 수도권 및 주요 광역권에 물류거점을 집중 운영하고 있다.
양사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또한 대용량 EV 충전소를 기반으로 한 차량-전력망 연계(V2G) 서비스, 가상발전소(VPP) 등 전력 신사업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LS이링크의 대규모 충전소 운영 노하우를 활용해 물류·에너지 운영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플랫폼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향후 합작법인(JV) 설립 등 구체적인 사업 추진 방안은 공동 태스크포스팀(TFT) 또는 별도 협의체를 통해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MOU는 앞서 그룹 간에 체결된 전략적 업무협약의 연장선상에 있다. LS는 한진을 통해 LS전선의 케이블을 운송하고, LS에코에너지의 미주·호주·동남아행 해상 수출 및 베트남 내륙 운송을 진행하는 등 한진그룹과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다.

[용어설명]
■ V2G(Vehicle-to-Grid) : 전기차를 전력망과 연결해 전기차 배터리의 남은 전력을 다른 사용처에 활용하는 기술
■ VPP(Virtual Power Plant) : 물리적인 대규모 발전소가 없어도 발전소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 LS전선, 국내 최초 MV 내화케이블 상용화
- LS일렉, 북미시장 본격공략
- LS일렉트릭, 美 AI 데이터센터 진출
- LS에코에너지, 인니 진출 가속화
- LS전선, 대만서 10연승 질주
- LS전선, AC·DC 겸용 케이블 국내 첫 출시
- LS그룹, AI시대 전력솔루션 선도
- LS전선, LS마린솔루션 유상증자 2909억원 전액 청약 결정
- LS일렉트릭·LG전자·한전, DC 스마트팩토리 시대 연다
- LS일렉트릭, 창립 이래 첫 임단협 전면위임
- 한국배터리아카데미 경기캠퍼스 개소
- LS일렉트릭, 아세안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 본격화
- LS에코에너지, 인도네시아 IDC에 버스덕트 첫 수출
- LS일렉트릭, 코마린서 선박 자동화 총출동
- LS전선, 심해 원유 이송 기술 개발 나선다
- LS일렉트릭 R-센터, KOLAS 공인시험기관 인정
- LS에코에너지, 올 3분기 사상 최대 실적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