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세계 각국이 기후위기 대응에 전력을 쏟고 있는 가운데, 영국 정부가 세입자들의 난방비 절감을 위해 집주인(임대인)들에게 단열재를 설치하도록 강제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 같은 조치는 민간 임대 주택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동시에 세입자들의 난방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지난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임대인들이 2030년까지 에너지 절약 조치를 취하도록 의무화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임대인은 자신의 부동산에 평균 6100파운드(한화 약 1096만원)에서 최대 6800파운드(한화 약 1222만원)를 투자, 에너지 효율을 개선해야 한다.
이 계획에 따르면, 모든 민간 임대 주택은 ‘에너지 성능 인증서(EPC)’ 기준 E등급에서 C등급 이상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EPC는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평가하는 제도로, 현재 영국 민간 임대 주택의 약 48%만이 C등급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모든 민간 임대 주택이 C등급을 충족해야 한다고 밝혔다.
임대인들은 단열재를 추가하는 것 외에도 배터리, 태양광 패널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이번 조치는 특히 세금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상승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임대인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정책은 지난해 7월 취임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공약에 따라 추진됐다. 그는 선거 기간 중 가정의 전력과 가스를 줄여 난방비를 낮추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영국 정부는 이번 정책이 최대 50만 가구를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게 돕고 세입자들이 매년 평균 240파운드(약 43만원)의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