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오전 화성 동탄2 A93블럭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관리비 제로 아파트 비전 선포를 하고 있다. / 경기도 제공
11일 오전 화성 동탄2 A93블럭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관리비 제로 아파트 비전 선포를 하고 있다. / 경기도 제공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인터넷과 SNS 등을 통한 ‘난방비 폭탄’ 인증 릴레이가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도가 신재생에너지와 첨단 AI 기술을 통해 아파트 관리비를 대폭 절감하는 ‘관리비 제로 아파트’ 비전을 제시했다.

김동연 지사는 11일 화성 동탄2 A93블록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2040년까지 경기도 내 신축 아파트 80만 호를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활용과 에너지 효율화 기술을 적극 도입, 전기·냉난방비 등을 제로화하는 ‘혁신 계획’을 발표했다.

김 지사는 “아파트 주민들이 겪고 있는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기술 발전에 따른 에너지 효율화를 주거지에 적용, 관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길을 열겠다”며 “특히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고 AI와 기후테크를 통해 유지관리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기도의 ‘관리비 제로 아파트’는 4단계로 나눠 추진된다. 첫 번째 단계는 2026년까지 18만2000호의 신축 아파트에 공용 전기비용 제로화를 목표로 한다. 단지 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 주차장 조명과 엘리베이터 등의 공용 전기 자체 공급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2030년까지 신축 아파트 40만4000호에 가정용 전기까지 제로화하겠다는 목표다. 고효율 건물 일체형 태양광 시스템과 지능형 태양광 시스템을 통해 가정 내 전기를 태양광 전력으로 충당하며 이를 통해 세대별 전기료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겠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경기기후플랫폼’을 통해 RE100 인증서를 거래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수익을 전기료 절감에 활용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된다.

세 번째 단계는 2040년까지 신축 아파트 21만7000호의 전기료와 냉난방 비용을 제로화하는 계획이다. 이 단계에서는 태양광 외에도 하수, 폐수, 유출 지하수 등 다양한 수열 에너지원도 적극 활용된다.

AI 에너지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재생에너지의 생산과 소비, 저장 등 전 과정을 최적화해 에너지 비용을 최소화하고 자체 생산한 에너지와 재생에너지 거래수익을 증대시켜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한다.

도는 또 에너지 효율화를 넘어 AI 관리 시스템과 로봇을 활용한 관리비 절감 방안도 모색한다. 아파트 관리비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청소, 수리, 경비 등의 유지관리 비용을 AI와 로봇 기술을 통해 절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관리 시스템이 사용하는 에너지도 아파트 단지에서 자체 생산한 재생에너지로 충당해 2040년에는 명실상부한 ‘관리비 제로 아파트’를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김동연 지사는 “관리비 제로 아파트는 단순한 생활비 절감뿐 아니라 2050탄소중립 실현, 에너지 자립 등 국가적 과제와도 맞닿아 있다”며 “이는 미래 세대를 위한 필수적인 방향이며, 이를 통해 우리 사회의 에너지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도는 ‘관리비 제로 아파트’ 실현을 위해 에너지 자립과 돈버는 아파트, AI 첨단 기술 도입 등을 추진하며 신재생에너지와 기후테크의 발전을 통한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선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경기도가 향후 에너지 효율화를 통한 주거지 비용 절감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중요한 첫 걸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