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략산업 AI 앞세운 美, 수출보다 내수 안정에 초점 둘 수도 있다. /AI 생성이미지
국가 전략산업 AI 앞세운 美, 수출보다 내수 안정에 초점 둘 수도 있다. /AI 생성이미지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AI 붐이 촉발한 전력 수요 급증이 미국 LNG 산업에 새로운 도전을 던지고 있다.

세계 최대의 셰일가스 보유국이자 LNG 수출국인 미국이지만, 인공지능(AI) 산업 확장에 따른 전력 수요 급증으로 내수 가스 수요와 가격이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 내 LNG 수출 플랜트의 수익성과 글로벌 경쟁력이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현재 전체 전력 수요의 6%를 차지하는 미국 내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량은 2030년까지 13%로 급증하며, 이 기간 전체 전력 수요 증가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할 전망이다. 이는 약 240TWh의 추가 전력 수요를 의미하며, 이 중 130TWh 이상은 천연가스 발전으로 충당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데이터센터는 ‘99.999% 가동률(5나인)’이라는 초고신뢰성 운영을 요구하는 만큼, 재생에너지나 원전뿐 아니라 기저부하용 천연가스 발전소 의존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미 일부 대형 AI 프로젝트에서는 가스발전소가 데이터센터 인근에 직접 건설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전력망의 지역적 부하와 인프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한편, 미국은 2028년까지 LNG 수출 생산량을 하루 40억 입방피트(bcf/d) 수준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하지만 미국 에너지정보청(EIA)는 미국의 가스 생산량이 2030년 초반을 기점으로 정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AI 산업과 LNG 수출이라는 두 축이 동일한 자원을 두고 경쟁하게 되는 구조로, 내수 우선 논리가 힘을 받을 경우 수출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EIA는 2025년 기준 헨리허브(Henry Hub) 가스 가격이 BTU당 2.94달러에서 2035년에는 5.49달러로 두 배 가까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가스발전소 건설비용도 2022년 이후 3배로 급등해 kW당 2,400달러를 넘고 있다.

미국의 전력망과 가스 송배관 인프라는 대부분 노후화돼 있으며, 최근 텍사스와 플로리다에서 발생한 정전 사태처럼 기후 리스크에도 취약한 상태다. 주요 송전망은 이미 포화 상태에 가까워, AI 전력 수요가 본격화될 경우 대규모 인프라 투자 없이는 병목 현상이 불가피하다.

미국 정부는 ‘AI 산업 보호’와 ‘LNG 수출 경쟁력 유지’라는 이중 과제를 놓고 정책적 선택을 강요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AI의 경제·안보적 가치가 더 커진 현재 흐름을 감안하면, LNG 수출이 우선순위에서 밀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에너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