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국제 유가 급락과 글로벌 수요 둔화 우려 속에서 북미 주요 LNG 프로젝트인 플라크민스 LNG(Plaquemines LNG)와 LNG 캐나다(LNG Canada)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두 프로젝트 모두 대규모 투자가 진행 중이지만, 위험 요인에는 차이가 있다.
플라크민스 LNG는 미국 루이지애나주 걸프만(Gulf Coast) 지역에 위치한다. 이 지역은 이미 많은 LNG 수출 터미널이 밀집해 있어, 공급 과잉에 따른 가격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주 수출 대상이 유럽 시장인데, 최근 유럽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가스 수요 감소를 병행하고 있어, 장기 수출 계약 확보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이미 시장에서는 일부 미국 LNG 프로젝트들이 수출 계약 재협상을 추진하는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LNG 캐나다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키티맷(Kitimat)에서 아시아 시장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미국 걸프만 대비 항로가 짧아 물류비용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높다. 하지만 플랜트 건설 과정에서 기후, 인프라 부족 등 캐나다 특유의 환경적 리스크가 크다. 실제로 착공 이후 여러 차례 공정 지연과 비용 초과가 발생했다. 또한, 캐나다 정부의 환경규제가 점점 강화되고 있어 장기 운영 리스크도 무시할 수 없다.
두 프로젝트 모두 환경이 녹록지 않지만, 단기 투자 안정성은 LNG 캐나다, 장기 시장 생존력은 플라크민스 LNG가 약간 더 우위에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관련기사
- 국제유가 4년 만에 최저…OPEC+ 증산과 무역전쟁 여파 직격탄
- OPEC+, 감산에서 증산으로…유가 변동성 커지는 글로벌 시장
- 미국 한파 영향 '석유 생산' 차질
- 미국 천연가스, 2025년 사상 최대 생산·수출 기록 전망
- 미국 에너지 생산, 2027~2032년 정점…셰일 혁명도 한계 도달
- 미국 천연가스 생산 정체…퍼미안(Permian)만 웃었다
- AI 시대, 미국 전력수요 폭증…"천연가스·재생에너지 모두 필요하다"
- 미국, 2024년에도 LNG 수출 세계 1위…아시아 수출 증가 두드러져
- 셰브론·토탈에너지, Gulf of America서 첫 생산…美 에너지 자립에 속도
- 우드사이드, 루이지애나 LNG 프로젝트 최종 투자결정
- AI가 삼킨 천연가스…미국 LNG 수출, 중대 기로에 서다
- 아시아 LNG 수요 정체…유럽도 계절적 감소세
- “산림 폐기물이 수소로” 캐나다 앨버타, 300만달러 투자해 청정수소 전환 본격화
- "그린이냐 블루냐"…수소엑스포서 드러난 캐나다 에너지의 딜레마
- 미국 LNG 개발사들, 철강 관세에도 초대형 수출 프로젝트 ‘강행’
- 미국, 중단됐던 LNG 수출 허가 재개… 산업 확장 vs 환경 충돌 본격화
- 캐나다의 대서양 LNG 프로젝트, 갈수록 좁아지는 기회의 창
- 미국, Sempra ‘Port Arthur 2단계’ LNG 수출 최종 승인
- 미국 LNG 수출량 5월 한 달 새 4% 감소
- 미국 최대 LNG 터미널 또 키운다
- 캐나다 LNG, 첫 아시아행 출항…LNG Canada 상업화 신호탄
- 캐나다, 첫 LNG 아시아 수출…미국 의존 탈피 본격화
- 캐나다 천연가스, 7년간 수요 강세 전망…가격 반등 본격화
- Fluor-JGC, LNG Canada 2단계 FEED 수주
- [초점] Argent LNG, Port Fourchon 프로젝트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