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에너지 김은국 기자]
전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국영 석유 회사(NOC, National Oil Company)의 역할은 그 중요성이 날마다 커지고 있다. 특히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를 가진 아시아의 양대 강국, 중국과 인도의 NOC들은 자국 에너지 안보를 책임지는 핵심 주체로서 상이한 투자 전략과 성장 궤적을 보여주며 글로벌 에너지 지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중국 NOC: 국가적 지원을 등에 업은 공격적 생산 확대
중국의 대표적인 NOC인 중국석유천연가스그룹(CNPC), 중국석유화공그룹(SINOPEC),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는 국가의 막대한 자본과 정책적 지원을 바탕으로 생산량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들은 자국 내 유가스전 개발뿐만 아니라 해외 자원 확보를 위한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급격한 경제 성장에 따른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석유 및 가스 탐사, 개발, 정제, 운송 등 전방위적인 공급망에 걸쳐 대규모 투자를 지속중이다. 자국 산업의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고,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중국 정부의 전략적 의지가 반영된 결과이다.
■ 인도 NOC: 자본 부진에 발목 잡힌 성장 정체
반면, 인도석유공사(IOC), 석유천연가스공사(ONGC), 바라트석유공사(BPCL)와 같은 인도의 NOC들은 중국 NOC와는 다소 다른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인도는 중국과 마찬가지로 에너지 수요가 폭증하고 있지만, 자본 조달의 어려움과 정부의 재정 제약으로 인해 생산 능력 확대에 필요한 대규모 투자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있는 상황이다.
해외 자원 확보 경쟁에서 상대적으로 위축될 수 있으며, 자국 내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생산량 증대에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인도 NOC들은 에너지 공급망의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성장이 정체되는 난관에 부딪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상이한 전략이 가져올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변화
중국 NOC의 공격적인 투자 확대는 글로벌 유가스 시장의 공급 측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국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반면, 인도 NOC의 자본 제약으로 인한 성장 정체는 인도가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하고, 장기적으로는 인도의 에너지 안보에 도전 과제를 안겨줄 수 있다.
중국과 인도의 NOC들이 보이는 상반된 투자 전략과 성과 차이는 글로벌 에너지 지형의 변화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인도, 석유 수요 증가율로 중국 제쳐…세계 소비 성장 견인
- 미국, 4월 NGL 수출 사상 최대…중국 빠지자 인도·일본이 채웠다
- 美 LNG의 최대 위협은 수요 아닌 트럼프 정책?…中 조선 규제 '급브레이크'
- 중국, 여전히 해외 석탄화력 짓는다…2021년 약속 무색
- 아시아 LNG 수요 정체…유럽도 계절적 감소세
- 중국 CNOOC, 미국 대신 아부다비 LNG 선택
- ADNOC, 中과 LNG 공급망 확대…15년-5년 계약 연이어 체결
- Sinopec, 알제리서 대형 가스전 탐사 착수
- 중국 Sinopec, 푸싱 유전서 1억4700만 배럴 매장량 확인
- 저유가 직격탄 맞은 인도 ONGC, 2분기 순이익 10% 감소
- CNOOC, 유가 하락에 상반기 순이익 13% 감소

